Theories of Political Economy
James A. Caporaso, David P. Lev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주류이론은 물론, 맑시스트 이론에 이르기까지 정치경제학의 주요 이론과 
각 이론에서 바라보는 정치와 경제의 관계를 다룬다
글쓴이들이 '차이'를 강조하면서 서술해 각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데 유용하다 

서술이 엄청 논리적이라, 각 흐름의 기본적인 전제와 거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순이나 문제점 등까지 상세하게 짚고 있다

정치와 경제에 대한 다양한 정의에서부터 시작해 흐름을 개괄하는데, 
여러 차례 곱씹어 보면서 자기의 위치가 어디인지 탐색하는데 유용할 듯하다
여기의 내용을 좀더 정확하고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는 시기가 나에게 오길 >_<


classical tradition
아담 스미스가 자본주의 경제의 기초를 놓았다고 하지만, 당시에 정치와 경제는 분리되지 않았다 
그러나 정치의 지위는 강등되는 편-보이지 않는 손을 생각하라!
정치와 대비되는 시민사회를 낳는 개념이기도 하다 

Marxian 
주요한 힘은 시민사회에서 등장한다-정확히는 시민사회 내의 경제적 역학관계
이후 
맑스 본인의 혁명적 정치경제학, 카우츠키에서 비롯된 사민주의적 정치경제학-둘의 구분은 뚜렷하다- 레닌과 그람시로 대표될 수 있는 국가이론으로 분화한다 
어느 경우라도 정치경제를 좌우하는 것은 경제다

neoclassical
한계비용의 등장과 함께 공리주의 utilitarianism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복지 welfare를 선택과 결부시킨다 
파레토 최적으로 대표되는 대표적 논의는 시장을 통해 자원부족 상황에서 각 개인이 최대한의 want를 충족할 수 있으며, 시장을 통해 이는 자발적인 거래가 이루어지면서 이것이 충족된다 -합리적 선택에 근거한 거래
기본 가정에서 voluntary exchange가 특히 중요한 듯하다

정치와 경제 둘다 economizing, calculating이라는 같은 목표로 움직인다 
정치경제의 영역은 소유권 property right, 외부효과, 공공재 등 시장실패와 독과점 등에서 정부의 역할이 발생한다
-free ride가 가능한 공공재에서 이 공공성을 어디까지 확대할 것인지는 논쟁이 될 수도 있겠다
-자유주의자들, 또는 하이에크의 '자유'와 관한 논의와 연결되는 지점이 있다 다른 이들의 want 충족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keynesian
경제학의 핵심 주장은 자본주의에 내재한 속성 때문에 최적상황이 만들어질 수 없다는 거다 
특히 기업과 개인을 염두에 둔 사이클을 생각했을 때 기업소유권과 개인소유권의 분리는 
유효수요가 필요하고, 경제의 안정성이 중요해지는 것은 이 때문이다 

자율적인 시장을 부정하지만 정치경제와 관련해는 꼭 경제가 정치화될 필요는 없다
나머지 부분은 행정 administrative 영역이 하면 되기 때문 그러나 이것이 정치과정에 휩쓸리거나 political business cycle 행정의 개입이 시장을 약화시키는 상황 crisis of legitimacy가 생길 수는 
있다 
정치의 재검토가 경제의 정의에 대한 재검토를 낳지만, 과정이 정치화되는 것이지 곧 경제가 정치화되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
-케인즈 경제학 이론 관련 논의는 다시 볼 필요가 있다

economic approach
전형적인 주류 사회과학 이론
방법론적 개인주의와 공공선택 이론 등이 대표적
애로우의 불가능성 정리-민주주의는 개인의 이익을 집합적인 이익으로 전환하지 못한다는 거, 올슨, 노스 등의 신제도주의 이론이 모두 여기에 속한다
-이 사실은 다소 의외, 비록 이들이 개인의 이익을 최우선에 두고 이것이 집합적 이익으로 합치되는 과정을 탐색하지만 

제도의 경우 배분 행위에서 제도의 중요성을 다루는 흐름-경제모델 외부에 제도가 위치한다, 제도 자체가 행위의 주체가 되는 경우 두 가지는 차이를 보인다 

국가는 시장 실패의 경우에 대해서만 개입한다 -neoclassical과 비슷한 부분이기도
공공의 정책결정자의 경우에도 경제의 기본가정-부족한 자원과 목적의 완성-을 공유한다

power-centered approach
경제과정에서의 권력 관계를 다루는 듯싶다
맑시즘의 경우에는 이런 경향이 분명히 강하다 
power within, power 
물론 권력과 정치는 등치되지는 않는다 

state-centered approach
크라젠스타인, 크라스너 등 IPE의 대표적 학자들이 여기에 속한다 statism도 한 가지 분파 
agent로서의 국가를 상정하며
국가는 개인의 이익의 집합이 아닌, 내재적인(?) 

justice-centered approach
롤스, 헤겔의 시각이 여기에 속한다
이외에도 소유권을 중심에 놓고, 정의를 논의하는 경우도 포함된다-롤스도 일정하게는 여기와 접합되는 부분이 있다
헤겔은 다소 이질적인 흐름-개인의 self-interest 가 아닌 personal integrity에 초점을 맞춘다 
-롤스의 등장 배경, 자유주의가 번성하던 시대를 고려하면 당연할 수도
Posted by 없음!
,
총, 균, 쇠
제레드 다이아몬드, 문학사상사, 1998


조류학자인 제레드 다이아몬드는 뉴기니-뉴질랜드 원주민 추정-의 정치가의 질문에 부닥친다
왜, 우리와 달리 서구는 상품을 만들고, 기술을 발전시키는데 유리한가?
이에 대한 대답으로써 필자는 인류학과 생태학, 지리학 등을 총합하여 1만 3천년의 인류와 대륙간 역사를 탐험한 이후 결론을 내놓는다
현재 인간문명, 혹은 발전의 차이는 '환경적 차이' 때문이다

미국에서 발간된 책은
일반적인 서구의 시각-원주민은 지적으로 열등한 반면 서구인은 우월하다- 는 시각을 뒤집어 놓는데
이는 원주민, 혹은 저개발국과 그들의 문화를 존중해야 된다는 '윤리적' 차원을 훨씬 뛰어넘는다
-사실 이런 윤리를 전적으로 체화하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는 의문이지만

왜냐하면, 서구문명의 급속한 발전을 뒷받침하는 것은 환경이라는 우연적인 요소이기 때문


아주 짧게 요약하면
특정한 지역에서 식량생산이 가능해진 경우 유목형 생활방식이 정주형으로 바뀌고, 인구의 조밀화가 행해지면서 다양한 기술발전이 일어나고, 이러한 발전이 환경의 우연적 영향으로 효과적으로 전파되는 경우 급속한 발전이 가능하다

식량생산이 가능해지는 것은 그 지역의 생태적 환경에 따라 결정이 되며,
효과적인 전파 역시 대륙의 형태가 동서냐, 남북이냐에 따라 결정되므로
현재 유라시아, 특히 유럽의 급속한 근대화와 발전은 이러한 환경적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는 것이다

제목의 총은 무기-스페인의 피사로가 효과적으로 잉카를 제압한 이유- 가 발전하게 되는 경향을 다루고
균-정주형 생산방식이 가축화를 시행하는 경우, 균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러한 균은 외부균의 침입에 취야한 식민지를 효과적으로 초토화시킴
가축화가 가능해진 것은 그 지역의 기술 발전의 영향도 있지만, 내생적인 동물종의 영향도 있음
쇠-기술발전을 포함하여, 석기를 넘어 기술중심적 사회로 발전하는 경우 등을 압축적으로 드러낸다

이외에도 중요하게 다루는 것은 서로 다른 자원을 가진 특정부족의 흥성과 쇠퇴, 언어의 발견과 발전
-언어는 사실상 메소포타미아에서 먼저 발생했으나, 그 사회가 필요로 하는 정치사회적 환경에 따라 발전이 저해됨
-언어의 발전은 중앙집권화를 강화하고, 지식의 축적을 통해 서구는 식민지배를 용이하게 함
-인쇄술 역시 마찬가지, 우리의 직지심경이 독일의 구텐베르크보다 기술진보에 있어서 미약했던 것은 독일이 그를 더 강하게 필요로 했기 때문
-즉, '필요는 발견의 이유'다,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서구의 역사 뿐만 아니라, 문명이 발생했던 삼각지-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중국 황하-를 포함해 환태평양 지역의 다양한 도서지역과 아프리카의 정치경제학까지 다루고 있기에 매우 흥미로움

역설적인 것 중의 하나는 중국의 과도한(?) 중앙집권화가 유럽의 과도한(?) 분열 -이 부분은 민족주의와도 연관이 됨
과 달리 문명과 기술의 전파를 저해했다는 대목
제레드 다이아몬드는 다른 문명과 문화에 대해서 다름을 강조할 뿐이긴 하지만, 현재의 민족주의에 대한 과도한 서구의 비판은 그들의 역사에서 기인한 것이라는 대목이기도

오래된 미래와 더불어 생각할 거리와, 많은 자부심을 주는 책이다
다름에 대한 존중이 필요한 과학적인 이유와 더불어-환경이 그러하듯이 내가 이 대륙에 태어난 이유 역시 매우 우연적이므로
Posted by 없음!
,

Traditional economics is concerned primarily with the efficient, least-cost allocation of scarce productive resources and with theoptimal growth ofthese resources over time so as to produce an ever-expanding range of goods and services. By traditional economics we simply mean the classical and neoclassical economics taught in mostly American and British introductory textbook.Traditional neoclassicl economics deals with an advanced capitalist world of perfect markets; consumer sovereignty; automatic price adjustments; decisions made on the basis of marginal, private-profit, and utility calculations; and equilibrium outcome in all product and resource markets. It assumes economic "rationality" and a purely materialistic, individualistic, self-interested orientation toward economic decision making.

Political economy goes beyond traditional economics to study, among other things, the social and institutional processes through which certain groups of economic and political elites influence the allocation of scarce productive resources now and in the future, either exclusively for their own benefit or for that of the larger population as well. Political economy is therefore concern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economics,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role of power in economic decision making.

Development economics has and even greater scope. In addition to being concernec with the efficient allocation of existing scarce (or idle) productive resources and with their sustained growth over time, it must also deal with the economic, social, political,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both public and private, necessary to bring about rapid (at least by historical standards) and large-scale improvements in levels of living for the masses of poverty-stricken, malnourished, and illiterate peoples of Africa, Asia, and Latin America.........................................from "Economic Development", Michael P. Todaro.

Posted by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