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사마리아인들 장하준의 경제학 파노라마
장하준 지음 이순희 번역, 부키, 2007

사다리 걷어차기
장하준 지음 형성백 번역, 부키, 2004

초 베스트셀러인 장하준의 두 책은 느낌이 비슷하다
<사다리 걷어차기>는 읽은지 오래 돼서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사다리 걷어차기>의 기본적인 문제의식을 대중적인 언어와 기획으로 풀어낸 것이 <나쁜 사마리아인들>인 것으로 추정됨

하고 싶은 말이 분명하고
신자유주의자들은 개발도상국가에게 자신들이 과거에 잘 나가던 시절, 경제가 순조롭게 발전되던 시기에 취했던 정책들 대신 현재의 자신에게 유리한 정책을 취한다
고로 신자유주의자들이 현재 권고하는 정책을 개발도상국이 채택할 경우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은 제대로 되기 어렵다
기본적인 장애물-국가정책, 유치산업 보호, 지적재산권 등등 여러 범위에 걸친- 을 뛰어넘고 능력개발(아마도 human development)과 제도 발전(institutional development)을 이루기가 어려우므로

거기에 따르는 제목이 매우 섹시하며
렉서스와 올리브나무, 다니엘 디포의 이중생활 등

굉장히 다양한 역사적 사례와 현재의 상황이 교차된다
도요타와 일본, 뻐꾸기시계와 스위스 등


여기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개발도상국 또는 체제전환국(장하준은 여기에는 별로 관심이 없어 보이긴 한다)의 개발 전략을 아이디어 차원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면, 정말 많은 아이디어들이 나올 수 있을듯하다

논문 스탈의 <사다리 걷어차기>에 비해 에세이 스탈의 <나쁜 사마리아인들>은 논문의 강점-엄격한 논리 전개, 처음부터 끝을 관통하는 주제의식-을 그대로 살리되
굉장히 '화사한' -이것은 고종석이 정운영의 경제칼럼을 평하면서 썼던 말- 글을 전개하는데
많은 사례와 역사적 지식이 버무러져 있어서 그런 것 같다

역시, 사람은 책을 많이 읽고 많이 생각해야 -_-;;
특히 역사에 대한 지식과 이해는 필수적이다 -<나쁜 사마리아인>들에는 내가 모르는 한국의 얘기가 너무나 많다


중간에 약 100년 정도 차이가 나는 경제정책을 두고 동시대적으로 비교한다는 점에 약간의 의문이 들기도 했으나
그러니까 대영제국이 유치산업 보호-면화산업 육성을 위해 취했던 정책은 100년도 더 전이고, 그와 동일한 정책을 현재의 개발도상국이 채택해야 된다는 논의들
결국 그것은 당대의 경제정책적 지형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하기에

결국 정책과 제도도 만들어지고, 적응해가는 것임을 감안하면-이것이 일정하게는 제도주의자들의 생각인듯, 동의하는 측면익도 하고- 시차와 시차가 내재한 당대를 생각할 필요는 없겠다
다만
그러한 지형 때문에 유치산업을 보호하려는 개발도상국의 정책은 이전보다 더 많은 장애물과 논리들을 넘어야 하겠지만


여튼 장하준의 글은 신자유주의 반대자들에게 반론의 거리들을 다양하게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
그러나 그러한 반론에 기초해, 경제전략을 어떻게 짤지는 전적으로 개발도상국의 몫이다
개인적으로는 장하준의 '국민대협약'-쾌도난마 한국경제에서 제시된- 은 현재의 한국정치 지형에서 현실화되기가 매우 힘들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것 말고 어떤 대안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_-;;

한국이 개발도상국은 넘어선 것 같지만, 경제 발전은 여전히 필요하며, 왜곡된 -특히나 노사문화 측면에서- 경로의 발전을 재조직하기에는 또다른 고민이 필요하다고 생각


경제학자들의 글-장하준 정운영 이강국 등-을 쌓아놓고 보는 중인데,
참 많은 공부가 필요하고, 참 많은 아이디어와 논리들을 자기 내부에서 줄기를 갖고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
그래도 조금씩 경제공부에 적응 중
논문과 더불어 하나씩 차곡차곡 쌓이기만을 바랄 뿐

결국은 시간과 성실함이 많은 것들을 해결해줄 것이다
Posted by 없음!
,

마르크스주의경제학의 늦겨울
서울대 김수행 교수 후임 논란… 비주류 경제학의 필요성 커지는데 입지는 점점 좁아져

한겨레21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

지난 2월29일 정년 퇴임한 김수행 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사회경제평론> 최근호에 실은 ‘나의 삶, 나의 학문’이란 글에서 “서울대 경제학과의 대학원 학생들이 수업 거부와 농성을 통해 ‘정치경제학 전공자’를 영입하라고 교수들을 압박했고, 그 결과로 내가 1989년 2월 서울대에 들어올 수 있었다. 주류 경제학자들의 강고한 장벽을 뚫을 수 있다고는 상상도 못했다”고 회고했다. 김 교수는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 33명 중 유일한 마르크스주의경제학 전공자였다.

김수행 교수 영입 때도 농성
 
19년이 지난 요즘, 비슷한 요구가 서울대 경제학부에서 일어나고 있다. 서울대 대학원생들은 학문적 다양성을 위해 마르크스주의경제학 전공자를 후임으로 선발해달라는 대자보를 붙였고, 다른 대학의 경제학 교수 80명도 “김 전 교수 후임으로 마르크스주의경제학 전공자를 채용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자 지난 3월14일, 서울대 경제학부는 전체 교수회의를 거쳐 김수행 교수 후임 신규 채용 때 전공 분야를 ‘경제학 일반’(정치경제학 포함)으로 표기해 이달 말에 채용 공고를 내기로 했다. 서울대 경제학부 쪽은 “‘정치경제학’을 특정해 언급한 건 지원자 중 적절한 마르크스주의경제학 전공자가 있으면 뽑을 수 있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현재 국내 마르크스주의경제학 연구자로는 김수행 전 교수 외에 류동민(충남대)·정성진·김정주·김창근(이상 경상대)·조원희(국민대)·김성구·박영호·강남훈·윤소영·김윤자(이상 한신대)·조복현(한밭대)·이채언(전남대)·홍훈(연세대) 교수 등을 꼽을 수 있다. 마르크스주의경제학을 비롯해 ‘비주류’ 혹은 ‘이단 경제학’은 주류 경제학에 대한 ‘비판’ 학문이다. (포스트) 케인스주의를 비롯해 넓은 의미의 ‘비주류 경제학자’로 보면, 김균·박만섭(이상 고려대)·박종현(진주산업대)·신정완(성공회대)·안현효(대구대)·이강복(조선대)·이병천(강원대)·이정우(경북대)·김진일(국민대)·이일영(한신대)·장상환(경상대)·성낙선(한신대) 교수 등을 들 수 있다.

국내 마르크스주의경제학 1세대는 김수행·박영호·고 정운영 교수다. 1982년 이들은 함께 한신대에 교수로 들어간 뒤 이영훈·윤소영·강남훈 박사를 잇따라 교수로 영입하고 경제과학연구소를 설립해 이곳을 마르크스주의경제학 연구 거점으로 만들기 시작했다. 국내 최초로 제도권에서 마르크스주의경제학 교육이 이뤄진 셈이다. 그러나 1987년 초, 한신대 학내 민주화 요구를 주도했다는 이유로 정운영·김수행 교수는 해직됐다. 물론 한신대 경제학과는 그 뒤에도 김윤자·김성구·전창환·성낙선·정건화·양우진 등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들로 채워졌다.

특히 1985년에는 이병천·김기원·김형기·윤소영·정성진 교수 등이 마르크스주의경제학 독서모임을 만들었고, 이들을 주축으로 마르크스주의경제학회 건설을 목표로 1987년 4월 ‘한국사회경제학회’(한사경)가 창립됐다. 정성진 교수는 “사회경제학회란 표현은 공안 당국의 탄압을 피하기 위한 완곡 어법이었다. 한사경이 마르크스주의경제학회라기보다는 비주류 경제학의 종합 학회적 성격이었음에도, 마르크스주의경제학 연구·교육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1988년 4월 서울대 대학원 경제학과 자치회는 ‘정치경제학 전공교수 영입 문제를 계기로 드러난 경제학과 제반 문제에 대한 평가와 전망’을 발표하고 수업 거부에 들어갔다. 그해 10월 김수행 교수가 전공교수로 채용됐다. 이는 마르크스주의경제학 연구의 제도화에서 또 하나의 상징적 사건이었다.

바야흐로 ‘마르크스주의경제학의 봄’이 온 듯했다. 1981년 대학 졸업 정원제에 따른 대학 입학 정원 급증과 대학 교수요원 수요 급증을 배경으로 마르크스주의경제학 청년 연구자들이 대거 대학 전임교수로 진입했다. 그러나 봄은 짧았고, 상당수 마르크스주의경제학 연구자들이 이탈하기 시작했다. 여러 명이 ‘전향’하거나 포스트주의를 표방하며 뿔뿔이 흩어졌다. 대학에 자리를 잡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지면서 소장 마르크스주의경제학 연구자들은 생계와 취업의 압박 아래 부르주아경제학을 ‘부업’으로 하게 되었다.

물론 정운영 교수 등이 1992년 계간 <이론>을 창간(현재의 <진보평론>)하면서 마르크스주의경제학의 명맥을 유지했고, 홍훈·김균·박만섭 등 마르크스주의경제학에 우호적인 연구자들이 주요 대학의 전임교수로 채용되면서 마르크스주의경제학 교육·연구를 계속하거나 지원했다.

“현안 문제에 개입하지 못했다”

정성진 교수에 따르면, 2007년 한사경 진성회원 81명 가운데 지금도 마르크스주의경제학을 연구하는 회원은 12명에 불과하고, 이전에 마르크스주의경제학을 연구했지만 오늘날은 더 이상 연구하지 않거나 제도주의, 포스트 케인스주의 등으로 선회한 회원은 28명에 이른다. 서울대의 경우 마르크스주의경제학 전공 석사학위 수여자는 1990년 24명을 정점으로 90년대 후반 이후 5명 안팎으로 줄었다.

<사회경제평론> 최근호에서 정성진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제학 분야만큼 ‘종의 다양성’이 철저하게 부정되고 있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경제학과에 마르크스주의경제학 연구자가 전임교수로 있는 경우도 단순 재생산조차 염려될 정도로 주변화돼 있다”며 “우리나라 마르크스주의경제학 연구는 지나치게 아카데미즘으로 기울어져 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 현안 문제에 제대로 개입하지 못했고, 한국 경제의 구체적 분석과 대안 제시 부분에서도 취약했다”고 평가했다. 강남훈 교수도 “어느 시점을 지나면서 마르크스주의경제학자들이 학교에 남는 길이 끝나버렸고, 먹고사는 문제가 당장 닥치고, 학교에 남은 연구자들도 강단화되는 경향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김수행 교수는 “마르크스주의경제학도 자꾸 새롭게 생각해야 한다. 일정하게 주어진 목표가 아니라 민주·복지·노동자 권리 향상 등을 놓고 많은 참여와 논의 속에서 여러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동의를 얻어가면서 새로워지고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마르크스주의경제학이 퇴조와 곤경에 처해 있지만, 21세기 들어 신자유주의의 세계화와 양극화 심화, 반자본주의 지향 운동의 고양, 전 지구적 차원의 금융위기 대두 등 새로운 환경이 조성되면서 비주류 경제학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 일부 대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자본주의연구회’라는 전국적 조직을 만들어 마르크스주의경제학을 공부하고 있고, ‘맑스코뮤날레’ 같은 토론회와 강연회도 어느 정도 성황을 이루고 있다. 김수행 교수가 개설한 직장인 중심의 ‘사회과학아카데미’(마르크스주의경제학 8과목 개설) 수강생도 130명에 이른다.

강남훈 교수는 “학부 대상 <자본론> 강의 수강생이 최근 2∼3년 동안 조금씩 늘고 있다. 현실 자본주의의 모순이 깊어지니까 문제의식을 느끼는 학생들이 생겨나고 있다”며 “남미 좌파 정권 물결 등을 볼 때 비판경제학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조원희 교수는 “자본주의의 모순과 갈등, 불안정성이 증대하면서 부르주아경제학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며 “그러나 서울대가 마르크스주의경제학을 독점 생산할 이유는 없다. 한신대나 경상대가 마르크스주의경제학의 메카가 될 수도 있지 않은가”라고 말했다. 그러나 김수행 교수는 “서울대에서도 마르크스주의경제학 교수를 뽑지 않으면 이것이 모델이 되어 다른 학교에서도 비주류 경제학자를 안 뽑는 명분이 될 수 있다”며 “내 밑에 박사과정 9명, 석사과정 4∼5명이 있었는데, 내가 퇴임해 논문 심사도 못 받을 상황”이라고 걱정했다.

프랑스 등에선 비주류 경제학 운동 일어

우리나라 경제학계가 주류 경제학 일색으로 고착화되고 있지만, 흥미롭게도 21세기 벽두부터 프랑스 등에서는 경제학자와 학생들을 중심으로 비주류 경제학에 대한 요구가 거세게 일고 있다. 이른바 ‘후자폐적(post-autistic) 경제학 운동’이다. 2000년 봄 프랑스 소르본대학 학생 15명은 ‘(자폐적) 신고전파 주류 경제학’의 현실 경제 설명력이 취약하다고 비판하면서, ‘참된 경제 교육을 받을 권리를 위한 운동’을 전개했다. 이들은 ‘경제학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교수들과 기타 사람들에게 보내는 경제학도들의 공개 서한’을 발표하고 경제학 교육 내용에 다양성과 대안적 이론을 포함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의 주장은 인터넷을 통해 전세계에 전달됐고, 2001년 순식간에 영국, 미국, 독일, 오스트리아 등지로 확산됐다. 현재 후자폐적 경제학 운동 네트워크에는 전세계 수만 명의 학생들과 경제학자들이 동조하고 있다.


Posted by 없음!
,


1. 거시경제학이란 무엇인가


(1) 거시경제학의 등장 배경

○ 고전파 경제학

- 가격조절기능

∙경제의 자체 조정 능력 (self-correcting forces) → 조화로운 사회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invisible hand)

∙가격(물가, 임금, 이자율 등)의 신축성

- 세이의 법칙

∙“공급은 수요를 창조한다”

∙불경기는 가격조절기능에 의해 자동적으로 해소된다.

∙불경기에는 임금과 물가(중간재)가 하락하면서 기업의 생산을 늘리는 유인으로 작용

∙총수요와 총공급의 균형점이 불경기라면, 임금과 물가의 하락으로 공급곡선이 이동하면서 불경기 탈출

- 화폐의 중립성

∙화폐는 실물 경제를 둘러싸고 있는 ‘베일(veil)’에 불과

∙실물부문과 화폐부문의 2분법 (dichotomy)

○ 케인즈 혁명

- 시대상황: 세계대공황

- 케인즈: 세상이 조화롭게 움직이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첫째, 장기적인 것만이 아니라 단기적인 것도 문제다.

“In the long-run, we are all dead."

∙둘째, 시장가격기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가격(특히 임금)의 (하방)경직성 → 불완전고용이 일반적

∙셋째, 절약의 역설 (thrifty paradox)

∙넷째, 정부의 역할이 중요: 재정정책

케인즈와 뉴딜정책(루즈벨트)

∙일반이론: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1936)

- 수요가 공급을 창조: 케인즈의 국민소득결정이론

∙승수효과 (multiplier effect)

∙재정정책의 유효성

- 화폐수요이론

∙화폐보유의 3가지 동기와 화폐수요 함수

∙그러나 유동성 함정(liquidity trap)과 투자의 이자율에 대한 비탄력성으로 인해 통화정책의 효과는 제한적

(2) 거시경제학의 중심과제 및 방법론


○ 거시경제학의 중심과제

- 국가 경제의 목표: 세 마리 토끼

∙경제성장 (높은 소득과 낮은 실업률)

∙물가안정 (인플레이션의 폐해 방지: 실질소득의 감소, 소득 재분배, 생산구조의 왜곡, 경상수지의 악화)

∙국제수지균형 (국제수지 적자 방지)

→ 어떻게 하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가?

→ 거시경제변수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

- 경제성장

∙경제성장: 경제규모(GDP)가 커지는 것

∙거시경제연구의 초점이 된 것은 80년대 중반: 일본의 미국 추월, ANICs의 등장

∙성장률 및 1인당 GDP의 국제비교: p8

1962년: 한국 $87, 미국 $3081, 일본 $632

1987년: 한국 $3201, 미국 $18714, 일본 $19847

1995년: 한국 $10823, 미국 $28242, 일본 $41289

1997년: 한국 $10307, 미국 $31000, 일본 $33723

2000년: 한국 $9675, 미국 $35793, 일본 $37537

1961-1994년의 성장률이 유지되고, 환율이나 인구변동을 무시한다면, 1995년을 기준으로 19년 후(2014년)에는 한국이 미국을 추월

∙초점: 경제성장의 요인은 무엇인가

성장속도가 일정 시점을 지나면 둔화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선후진국간의 경제적인 격차가 줄어들 것인가

- 경기변동

∙자본주의의 특징: 경기변동 (경기순환)

∙2차대전 이후 70년대 전반까지는 경기변동론의 쇠퇴

세계적인 고도성장하에서 경기후퇴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간주되었으며, 케인지안이 득세하면서 경기변동폭은 정부의 재정∙금융정책으로 축소될 수 있다는 믿음이 있었음

∙70년대 후반에서 90년대까지 경기변동론이 재각광을 받음

두차례의 oil shock로 인한 심각한 경기불황과 불확실성의 시대 인식하에서 정부정책의 효과에 대한 의문

∙초점: 경기변동은 왜 일어나는가

경기변동폭의 축소는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어떻게 이를 달성하는가

- 실업

∙70년대 이후의 불황으로 실업 문제는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

∙서구사회에서의 복지사회개념의 퇴조, 정보화사회로의 진전에 따른 경제구조의 변화로 실업문제는 더욱 큰 사회문제로 대두

∙초점: 실업률을 어떻게 줄일 것인가 (결국 경제성장과 경기변동의 문제)

완전고용실업률(자연실업률)의 국가간 차이는 왜 발생하는가

-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문제는 옛날부터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

고려시대 왕건: 물가가 올라서 큰일

80년대 이전의 한국 경제

바이마르 공화국, 소련, 남미의 인플레이션

∙oil shock에 따른 스태그플레이션의 문제

∙초점: 실업과 인플레이션의 관계 (필립스곡선)

통화와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의 경제(후생)적 비용

- 경제의 국제화

∙과거의 국제화 지표: 해외의존도, 시장 개방정도

∙현재: 수출입만이 아니라, 생산, 자본, 금융 등 모든 면에서의 국제화가 진행

→한 나라의 문제는 그 나라에만 그치지 않고 전 세계로 파급

∙초점: 환율 문제

대내적인 경제균형과 대외적인 균형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가

- 금융(자산)시장의 역할

∙자본의 축적과 함께 금융자산의 축적이 막대해지면서, 금융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해짐

∙개인의 경제생활에서도 금융시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초점: 금융시장의 효율성 문제(모든 정보가 이용되는 시장)

금융자산의 가격결정(CAPM; capital asset pricing model, APT; arbitrage pricing theory)

위험과 포트폴리오

통화변동과 거시경제 - 통화정책

○ 거시경제시장

- 생산물시장: 국내시장과 해외시장

- 노동시장

- 금융(자산)시장

∙화폐시장

∙증권시장주식시장채권시장

- 외환시장

○ 분석 방법론

- 경제학

∙시장의 균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이러한 균형이 어떻게 바뀌는가에 대한 연구

∙수요와 공급, 균형, 경제 충격과 균형의 이동

- 부분균형분석과 일반균형분석

∙균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분석

∙부분균형분석: 부분적인 시장에 대한 분석 (ceteris paribus)

예; 사과시장의 균형(미시), IS-LM 분석(거시) 등

∙일반균형분석: 경제 각 부문의 상호작용과 연관성을 동시에 고려

예; 일반균형이론(미시), 총수요-총공급 모형(거시)

- 비교정태분석과 동태분석

∙균형이 어떻게 바뀌는가에 대한 분석

∙비교정태분석(comparative static analysis): 균형간의 비교에 초점

∙동태분석(dynamics): 새로운 균형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분석으로 시간이 도입되며, 고도의 수학적 능력이 요구됨 (경제성장론 등)

(3) 케인즈 이후의 거시경제학


○ 케인즈 경제학의 쇠퇴

- 배경: 70년대의 oil shocks

∙케인지언들은 총수요관리를 통해 실업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

∙oil shock로 인해 스태그플레이션 초래

총수요관리정책은 물가상승을 더욱 촉발시키는 문제가 발생

또한 총수요관리정책하에서도 물가상승과 경기침체가 동시에 진행됨

- 주류: 통화주의 경제학, 합리적 기대이론, 신고전파경제학, 새케인즈경제학

∙비주류: 공급경제학, 공공선택학파

A. 통화주의

○ 통화주의자들의 비판

- 밀튼 프리드만(1976년 노벨상, 경제학∙수학∙통계학 전공, 유태계 미 경제학자)

- 케인지언의 자동자

∙엑설러레이터:정부지출 + 세금인하

∙브레이크: 정부지출감소 + 세금인상

-통화주의자들의 비판

∙재정정책(정부지출이나 세금)이 국가경제 자동차의 엑설레이터나 브레이크는 아님

-->통화량이 그 기능을 함

(재정정책의 구축효과, time lag, 세금조절의 한계)

○ 통화론자들의 근거: 화폐수량설

- 화폐수량설

∙화폐수량설: 통화량과 명목국민소득 사이에 정비례관계가 존재

∙MV = PT: I. Fisher의 교환방정식

- 통화론자들은 V가 안정되어있다고 생각: M을 조절하여, PT를 조절할 수 있음

∙독일의 바이마르공화국: 1921년과 24년사이에 통화량을 25조% 증대 -->1년반 사이에 물가는 2백억% 증가

∙장기적으로 통화량의 증가는 물가의 상승만을 초래하나, 단기적으로는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

- 화폐와 경제의 관계

∙엑셀러레이터를 밟아서 민간에 돈이 많으면, 필요한 만큼은 주머니(거래적 동기)에 넣고 다니고 나머지는 금융자산에 투자

∙금융자산에 투자 → 이자율 하락 → 투자 증가 → 총수요의 증가

∙즉 정부의 통화조절은 이자율의 변화등을 통해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침

○ 문제점

- 통화의 유통속도가 변덕장이임

∙통화량을 증가시켜도 통화의 유통속도가 떨어지면 효과가 없음

∙특히 통화량 증가가 통화 유통 속도에 1대1로 연계되어 있으면, 더욱 큰 문제

- 통화량 변동 → 투자증가의 조건

∙유동성 함정이 존재하지 않아야 함

∙기업의 투자가 이자율에 민감하여야 함

- 비판

∙케인즈: 헐거운 벨트를 차면 살이 찌게 되리라 믿는 것과 같음 (루즈벨트대통령에게 편지)

∙로버트 솔로 (1987년 노벨상)

“밀튼과 나의 차이점이 하나 있지. 세상 모든 것이 밀튼에게는 돈으로만 보이는 모양이야. 내겐 세상 모든 것이 섹스로만 보여. 하지만 난 그걸 마음속에 품고 있지 밀튼처럼 논문에다 쓰지는 않아”

○ 주의점

- 통화론자들은 국가경제의 미조정(fine tuning)에 반대

∙정부는 대개 형편없는 운전사

∙연준(FRB, Fed)도 믿기 어렵다.

- k% 준칙

∙통화증가율을 몇 %에 묶어놓기만 해라

∙공연히 정부에서 경기를 조정하겠다고 통화증가율을 변화시키면, 오히려 경제를 망칠 수 있다.

B. 신고전파경제학 (신케인즈경제학, neo-Keynesian economics)


○ 신고전파종합

- 사뮤엘슨 (1915- )

∙유태인, 하바드 졸업, MIT 교수, 1970년도 노벨경제학상

∙경제학입문: best seller

- 케인즈 이론과 고전파 이론의 종합

- IS-LM 모형

∙재화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적 고려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이 모두 효과가 있을 수 있음

∙케인지안에 가까움: 수요중시

C. 합리적 기대이론


○ 논리

- 모든 인간은 주어진 정보내에서 합리적 기대를 하며, 이를 통해 행동을 결정

- 경제 주체가 물가수준에 대한 기대를 합리적으로 형성할 경우, 케인즈 학파의 총수요관리정책은 아무런 효과를 거두지 못함

∙주식시장의 예: 주가부양책이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 합리적 기대 이론

- 기본 가정

∙완전정보: 사람들은 의사 결정을 할 때, 이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이용 (합리적 기대)

∙가격신축성과 이에 따른 시장청산

∙고전학파의 발전 (케인지언과의 대회전)

- 합리적 기대형성

∙근시안적 기대: Xt+1e = Xt

∙적응적 기대(adaptive expectation): Xt+1e - Xte = λ (Xt - Xte)

∙합리적 기대(rational expectation): Xt+1e = E[Xt+1 | It]

J. Muth, "합리적 기대란 모든 가능한 정보를 이용한 최적 예측 또는 미래에 대한 최선의 추측“

∙예; 원유가, 주가, 학교 등교 시간

- 루카스 크리틱

∙루카스: 1997년 노벨경제학상

∙예전의 국민 행동에 기초하여 만든 경제정책은 쓸모가 없음

∙국민은 이를 고려해 행동

--> 정부가 시장을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이 정부를 통제

(예; 유럽환율제도와 조지 소로스)

- 정부 정책의 효과가 있으려면 국민이 바보이든지, 정부가 국민보다 크게 똑똑해야 함

∙현실적으로 어려움

∙합리적 기대가설의 결론: 정부정책은 효과가 없다.

- 문제점

∙정보수집의 한계: 정보수집에 필요한 막대한 시간과 비용 때문에 이용 가능한 정보를 모두 이용할 수는 없음

∙합리적 능력의 한계: 전문적인 경제 지식을 갖지 않은 일반인은 고도의 수학, 통계학, 경제학적 능력이 필요한 합리적 기대를 하기 어려움

∙가격의 비신축성이 오히려 현실적인 제약임

D. 새케인즈경제학 (new Keynesian economics)


○ 새케인즈 경제학

- 합리적 기대 가설을 수용하되, 물가주준 및 임금의 경직성이라는 케인즈의 명제는 견지

∙임금과 물가가 왜 경직적인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 개별경제주체들이 인플레이션에 대하여 합리적 기대를 한다고 하여도 총수요관리정책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주장

∙Larry Summers

E. 공급경제학


○ 공급경제학

- 배경: Reaganomics

∙oil shock 하에서의 총수요관리정책(경기팽창정책)은 물가상승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스태그플레이션의 문제도 발생시킬 수 있음

∙총수요가 아니라 총공급 조절을 통해 경제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

- 공급을 확대시킬 수 있는 정책이 필요

∙방법: 감세, 규제완화 등

∙특히 감세: 근로의욕과 투자의욕을 고취

--> 문제점: 재정적자 (정부지출규모의 축소가 따르지 않으면 발생)

(정부지출규모의 축소는 총수요의 축소를 초래)

- 래퍼곡선: 세율과 세수의 관계

∙T = tY

∙래퍼커브: t와 T의 관계

∙어느 점까지는 t가 증가하면, T도 증가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반대로 T가 감소

(이 경우, 감세는 오히려 재정흑자를 초래할 수도 있음)

- 미국경제의 경험: 레이건행정부 이후 대규모의 재정적자 초래

∙래퍼곡선이 옳지 않거나

∙미국경제가 래퍼곡선의 왼쪽에 위치

∙강한 미국: 강한 달러 -> 대규모 무역적자 발생

--> 쌍둥이 적자


F. 공공선택학파

○ 제임스 부캐넌 (1986년 노벨상, 학계의 비주류)

- 테네시대학에서 학∙석사, 시카고대학에서 박사

∙동부의 아이비 리그를 경멸

∙뉴욕의 해군대학에 다니면서, 뉴욕에서 차별대우를 받음

∙우유를 짜서 학비를 조달

∙자유주의 신봉자

- 부캐넌의 문제 제기

∙정부의 재정적자는 왜 사라지지 않는가?

∙특수 이익집단은 왜 이다지도 많은가?

∙대통령 선거공약과는 달리 왜 정부 산하의 부서들은 커지기만 하는가?

∙정부는 왜 소비자보다 기업인들을 보호하려 하는가?

-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정치를 그저 성가시고 이해할 수 없는 비경제적인 장애물로 생각

∙연구할 가치가 없다.

- 부캐넌은 정치란 경제학적 도구로서 연구분석되어야 한다고 생각

∙비지니스맨이 이윤의 극대화를 꾀하듯, 정치가들은 권력의 극대화와 선거에서 이기는 비결을 추구

-> 공공선택이론: 비시장적 또는 정치적 의사결정에 대한 경제학적 연구

○ 특수 이익집단의 역설

- 사회의 효율과 국부를 증대시키자고 로비하는 애국적 특수 이익 집단은 없음

∙로비를 위해 들어가는 투입(자신들의 돈)보다 자신들에게 떨어지는 수익이 적기때문

- 예: 국가경쟁력증진연합회

∙회원: 전국민의 1% → 국가의 경쟁력 증진으로 이들에게 돌아갈 몫은 전국민의 혜택의 1%에 불과

∙1백억원 들여서 천억원의 효과가 있는 사업 → 회원들에게 돌아오는 혜택은 10억원에 불과 → 로비할 이유가 없음

- 잘 운영되는 이익집단

∙낙농축산연합회, 의사회, 변호사회

∙낙농축산연합회에서 10억원을 들여, 100억원의 수익을 올릴 수 있으면, 로비

→ 정치(가)란 황금알을 낳는 거위

→ 낙농축산연합회의 이익은 소비자의 손실로부터 나옴 (높은 우유 가격)

- 이에 대해 낙농축산연합회를 견제하는 소비자연합회는 왜 없는가?

∙우리 인구가 5천만이면, 낙농에 따른 개인의 피해는 200원에 불과

∙관두고 말지: 합리적 무시(rational ignorance)

--> 다수의 대중보다 똘똘뭉친 소수의 집단이 훨씬 강력한 힘을 발휘

○ 포획이론

- 포획이론: 규제받는 자들이 규제하는 자들을 포획해서 이용

∙기업들은 규제를 즐김: 치열한 경쟁으로부터 보호

-> 정부는 국민의 충직한 하인이지만은 않다.

○ 관료 사회가 점차 커지는 이유

- 관료들의 행위: 월급, 특전, 권력, 권위, 퇴직후의 조건 등을 극대화

- 이를 위해서는 관청의 예산 및 기구를 확대하는 것이 관료들의 효용을 극대화

○ 재정적자가 지속적인 이유

- 케인즈의 생각

∙경기불황기에는 재정적자이나 경기호황기에는 재정흑자

∙따라서 재정적자는 지속적이지는 않을 것임

- 국민들(선거민): 정부지출은 좋아하고, 세금증가는 싫어함

∙정치가는 선거를 위해서 정부지출 증대, 세금축소를 지향

- Political Business Cycle(정치적 경기변동)

∙선거직전에는 인플레이션 정책, 선거후에는 긴축정책 (당분간의 경제불황이 선거직전에 호황으로 바뀌면 오히려 선거에 도움)

∙선거논리에 의해 경제정책이 시행됨

○ 정치적 보이지 않는 손은 작동되지 않는가?

- 선거(투표)에 의해서 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가 (경쟁력증진회의 일을 대신)

- 문제: 유권자들은 종합선물세트를 일괄구입

- 투표의 역설 (얼마나 싫어하는지 얼마나 좋아하는지가 표시안됨)

→ 차라리 투표권을 팔아라. 그러면 오히려 낳아질지도 모른다.

○ 각 학파의 정부정책

- 아담스미스: 정부는 필요없다. 정부는 경제를 해칠뿐이다.

- 케인즈 및 케인지언: 정부가 경제를 도울 수가 있다.

- 통화주의자: 정부가 경제를 도울 수도 있지만 해칠 때가 더 많다.

- 합리적 기대이론: 정부의 개입이란 요술쟁이의 장난처럼 환상에 불과

- 공공선택학파: 정부가 경제를 해친다.


2. 거시경제변수의 개념 및 측정

(1) 거시경제변수의 대표선수: GDP

○ Questions

1) 남한은 북한보다 얼마나 잘 사는가? 지표: GDP, 1인당 GDP

2) GNP는 국민총생산인가 국민소득인가? GDP의 개념 및 측정

3) 미국과 일본 국민 중 누가 더 잘 사는가? GDP의 한계

4) 경제성장률은 어떻게 계산하는가? 명목 GDP와 실질 GDP (경상가격과 불변가격)

5) 투자와 저축의 차이는 무엇인가? GDP의 개념 및 측정

○ 각국의 GDP 비교 (명목)

- GDP

∙한국: 418조원(96년) - 5,200억 달러

453조원(97년) - 4,766억 달러

444조원(98년) - 3,177억 달러

484조원(99년) - 4,067억 달러 (94년 수준)

∙북한: 158억 달러 (99년)

∙미국: 9조 2,561억 달러 (99년)

∙일본: 4조 3,492억 달러 (99년)

∙중국: 9,646억 달러 (98년)

∙한국보다 GDP가 높은 나라(99년)

미국(23배), 일본(11배), 독일(5배), 프랑스(3.5배), 영국(3.5배), 이탈리아(2.9배),

중국(2.4배), 브라질(1.9배), 캐나다, 스페인, 멕시코

(네덜란드, 호주, 인도는 우리나라를 약간 하회)

- 1인당 GDP

∙한국: 11,380달러(96년), 6,742달러(98년), 8,581달러(99년)

∙북한: 714달러(99년)

∙외국(99년)

3만달러: 룩셈부르크(4만), 스위스 (3.6만), 일본(3.4만)

미국(3.4만), 노르웨이(3.4만), 덴마크(3.3만), 아이슬란드(3.1만)

2만달러: 독일, 싱가폴, 오스트리아, 벨기에, 프랑스, 스웨덴, 네덜란드, 핀란드, 이탈리아, 호주, 영국, 캐나다

○ GDP의 개념

- 일정기간동안에 자국내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시장가치의 총합(액)

- 일정기간: 연간 GDP, 분기 GDP

- 자국내: GNP와 GDP

∙GNP = GDP + 국외순수취요소소득: 자국민 (GNI)

∙대외순수취요소소득=국외수취요소소득-국외지급요소소득

- 생산물: 주식값이나 땅값이 오른 것 등은 제외

∙일본 땅값, 한국 땅값, 미국 땅값

∙소유권 이전은 제외

∙전세값은 GDP안에 포함

- 최종생산물:

∙최종생산물: 생산단계에서의 마지막 생산물

∙생산물의 가치 = 중간재의 가치+부가가치

∙생산물의 가치를 모두 더하는 경우의 문제점: 이중계산

농부의 벼 : 200원

방앗간에서의 쌀 : 300원

시장에서의 쌀(수송비 등) : 500원

음식점에서의 밥 (공기밥 하나) :1,000원

==>다 더하면, 쌀(벼)은 계속 들어감

==>공기밥 하나의 가격을 생각하던지, 아니면, 벼+방아값+수송비등+밥으로 전환

∙최종생산물의 가치 = 부가가치(value added)의 합

- 시장가치: 시장에서 거래되어야 함

∙주부의 가사노동, 파출부의 가사노동

○ 경제성장률의 계산

- 경상가격과 불변가격

∙예;98년 99년

수량 가격 수량 가격

바나나 100 100원 120 150원

물고기 100 200원 150 200원

==> 98년 GDP = 30,000원

99년 GDP(경상) = 48,000원

99년 GDP(불변, 97년기준) = 42,000원

∙경제성장률 = 40%

중요한 것은 실질 GDP: 경제성장률은 실질GDP로 계산

○ 측정: GDP 3면 등가의 법칙

- GDP를 어디에서 재는가

∙생산: 최종생산물들의 합 (혹은 부가가치들의 합)

∙지출(총수요): 소비, 투자, 정부지출, 수출(해외부문)

--> Y = C + I + G + X - M

왜 M을 빼주는가?

∙분배(생산요소에 대한 분배): 임금, 이자, 이윤, 지대

--> 소득 (GNP = GNI)

- 3면 등가: 생산=분배=지출

∙재고투자: 생산은 되었지만, 지출(수요)은 아직 되지 않았음

→ 지출에 포함시켜야 함

∙고정자본소모(감가상각)는 기업 내부에 유보되어 생산 참여자에게 분배되지 않으며, 간접세도 분배되지 않음 → 3면등가가 정확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분배에 이 부분을 더해주어야 함 (p93 참조)

∙분배 = 피용자보수 + 영업잉여 + 고정자본소모 + 간접세 - 보조금(이전소득)

(보조금은 피용자보수 등에 계산되어 있음)

○ 투자와 저축

- 투자: 기업의 행위

- 분배 측면의 GDP: 다시 정리

∙분배=소득 --> 어떻게 쓰는가

∙소비, 저축, 세금

∙C + S + T

- 3면 등가에 의한 투자의 재원 파악

∙Y = C + I + G + X - M = C + S + T

∙I = S + (T-G) + (M-X)

(투자의 재원: 민간저축 + 정부저축 + 해외부문저축)

∙I = S (정부와 해외부문이 없을 때)

○ GDP 이외의 국민소득 관련 용어

- 국내순생산: NDP = GDP - 감가상각

∙감가상각은 새로 창출된 부가가치로 보기는 어려움

- 국민총소득: GNI = GDP + 국외순수취요소소득

∙명목 GNI = 명목 GNP

∙실질 GNI: 실질 GDP에서 국외순수취요소소득과 교역조건변화를 반영한 실질무역손익을 감안

- 국민총처분가능소득: GNDI = GNI + 국외순수취경상이전

∙저축률과 투자율 계산시 이용

- (요소비용)국민소득: NI = GNDI - 감가상각 - 간접세

∙민간부문에 1차적으로 주어지는 소득

- 개인소득: PI = NI -법인세 -사내유보이윤 + (정부및기업의)이전지출

∙개인에게 주어지는 소득

- 개인가처분소득: PDI = PI - 개인소득세

∙개인이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소득

∙PDI = C + S

○ 한국의 국민계정

- 항목별 금액:

∙정부의 투자는 총고정자본형성에 포함되어 있음

∙투자: 총자본형성 = 총고정자본형성 + 재고증가

- 국민계정을 이용한 경제지표

∙경제성장률

∙부문별 성장률, 경제성장기여도, 경제성장기여율

예; 농림어업

∙경제구조: 생산구조, 지출구조, 분배구조

∙노동소득분배율

∙저축률과 투자율, 국내총고정투자율, 투자재원자립도

∙무역의존도: (무역액/GDP) * 100

96년 각국의 무역의존도: 한국 71.4%(98년), 캐나다 64.4%, 영국 47.2%, 독일 41.6%, 프랑스 36.7%, 미국 19.0%, 일본 16.5%

○ GDP의 한계

- only market activity

∙시장에서 거래가 안되는 것이 매우 많음 (지하경제)

∙시장가격은 국가마다 다름

∙환율의 변동에 따라 달러 환산 GDP가 크게 변화

- no value on leisure

∙경제생활의 목표: 삶의 질 향상

- “Bads" as well as "goods" get counted in GDP

∙지진, 전쟁 중 GDP가 올라감

∙미국경제의 호황기: 산업화 시기(1870년대), railroad prosperity(1880년대 후반), 1차대전 초반, 2차대전 초반, 한국전, 월남전(1960년대), 1990년대

- no consideration of ecological costs(생태적 비용)

∙공장 폐수, 자동차 배기가스 등에 의한 환경파괴

∙Green GDP

- no consideration of income distribution

∙개인간(계층간) 소득 분배 문제

∙로렌츠곡선: 각 소득순위집단이 점유하는 누적소득비율의 그래프(10분위 분배율)

∙지니계수: 로렌츠 곡선에서 작성


(2) 실업과 인플레이션

○ questions

1) 정부가 발표하는 물가상승률이 왜 다른가?

- 믿을 만 한가?

- 소비자물가, 생산자물가, GNP 디플레이터 등의 차이

2) 물가는 왜 상승하는가?

3) 물가상승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4) 우리나라의 실업률은 왜 구미제국에 비해 낮은가?

4) 성장과 안정은 반비례하는가?

○ 물가상승률의 측정

- 물가지수: 어떤 기준년도의 물가수준을 100으로 하고, 비교년도의 물가의 상대적 변화를 하나의 수치로 나타낸 것

∙예; 90년도 100, 91년도 110, 92년도 120

∙물가상승률 = (PIt - PIt-1) / PIt-1 * 100

- 물가지수는 어떻게 만드는가?

∙기준년도: 0, 비교년도: 1로 표시

∙Laspeyres index: 소비자, 생산자물가지수

PI = [ (Pi1 Qi0) / (Pi0 Qi0)] ×100

∙Paasche index: GDP 디플레이터

PI = [ (Pi1 Qi1) /(Pi0 Qi1)] ×100

∙예; 95년 96년

수량 가격 수량 가격

바나나 100 100원 120 150월

물고기 100 200원 150 250원

라스파이레스

95년: 기준년도 = 비교년도 = 100

96년: (100*150+100*250)/(100*100+100*200)*100 = 40000/30000 *100 = 133.3

파셰

95년: 100

96년: (120*150+150*250)/(120*100+150*200)*100 = 55500/42000 *100 = 132.1


- 바스켓의 이용

∙로빈슨 섬에서 바나나값은 50%, 물고기값은 25% 올랐음

∙어떻게 더할 것인가 : 가중평균

∙바스켓: 바스켓안에는 가중치가 있음

라스파이레스: Pi1Qi0 /(Pi0 Qi0) = (Pi1/Pio)*Pi0Qio /(Pi0 Qi0)

바나나=10000/30000=1/3, 물고기=2/3

--> 물가상승률 = 50/3 + 25*2/3 = 33.3%

파셰: Pi0Qi1 /(Pi0 Qi1) = (Pi1/Pio)*Pi0Qi1 /(Pi0 Qi1)

바나나=12000/42000=2/7, 물고기=5/7

--> 물가상승률 = 50*2/7 + 25*5/7 = 32.1%

- 물가지수의 종류: 바스켓안에 무엇이 있는가?

∙GDP 디플레이터: 생산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 (파셰 방식)

∙소비자물가지수: 주요 소비재 470개 품목 (라스파이레스 방식)

∙생산자물가지수: 기업사이에 거래되는 원자재 및 자본재 896개 품목 (라스파이레스 방식)

∙수출물가지수

∙수입물가지수 등

○ 인플레이션의 분석: 원인

∙총수요 및 총공급곡선을 이용한 분석

- 수요견인(demand-pull)

∙통화량의 과다발행 (돈의 가격 = 물가)

프리드만, “Inflation is always and everywhere a monetary phenomenon"

바이마르 공화국, 구소련, 남미등의 예

∙소비성향의 증가 등(과소비, 88올림픽이후: 거품경기)

∙주가나 지가의 상승

==> 총수요곡선의 우상향 이동

- 비용상승(cost-push)

∙원자재가격 상승

∙임금상승

∙가뭄이나 홍수와 같은 자연 재해

∙원화가치 하락 -> 생산비 상승

==> 총공급곡선의 좌측으로 이동

- 기대인플레이션

∙인플레심리: 인플레이션이 계속될 것으로 기대되는 경우, 이러한 예상 인플레이션을 임금계약, 대출계약, 임대계약 등에 반영

∙예: 물가상승 → 임금상승 → 물가상승 → 임금상승의 악순환

∙물가관리정책(혹은 소득정책): 케네디정부와 카터정부에서도 시행

○ 스태그플레이션

- 경기침체하의 물가상승 (stagnation + inflation)

- oil shock 등과 같이 총공급곡선이 위로 shift한 결과

∙70년대 초반과 후반에 스태그플레이션이 세계적으로 큰 문제가 되었었음

○ 인플레이션의 문제점

- 인플레이션의 문제점

1)부 및 소득의 재분배

∙채무자와 채권자

∙금리생활자(실질이자율), 연금수령자, 봉급생활자들이 불리

2)시장기능의 왜곡

∙각 재화별로 물가상승률이 다름 --> 투기의 발생 (생산, 투자재원의 낭비의 소지)

∙실질이자율의 하락 -> 저축의 감소

∙불확실성의 증대에 따른 장기계약의 회피 문제: 금융기관이 단기대출을 선호

3)국제수지의 악화

∙수입이 증가하고 수출은 감소함

- 예상된 인플레이션의 문제점

∙구두가죽비용(shod leather cost)과 메뉴비용의 발생

○ 실업률의 측정

- 실업의 사회적 비용 (P304)

∙미국에서 실업률 1% 포인트 상승시의 사회적 영향

- 실업의 정의

총인구(P): 약 4,700만명

생산가능인구(LF): 15세 이상, 총인구의 약 75%

경제활동인구(L): 생산가능인구의 약 60%

취업자(E)

실업자(U)

비경제활동인구(NL): 일할 의사가 없는 인구 (연로자, 주부, 학생, 실망실업자)

- 실업률 및 경제활동참가율

∙실업률 = U/L *100

∙경제활동참가율 = L/LF *100

- 예: 로빈슨섬

총인구: 200명

15세이상: 150명

학생(15세이상): 40명

취업자: 60명

자발적실업자: 10명

비자발적실업자: 30명

실망실업자: 10명

-> 경제활동인구: 100명, 비경제활동인구: 50명

실업률: 30%, 완전고용실업률: 10%

○ 완전고용(자연실업률)

- 실업의 종류

∙자발적 실업과 비자발적 실업

∙실업의 종류

1)마찰적 실업 (frictional unemployment): 자발적 실업

2)경기적 실업 (cyclical unemployment)

3)구조적 실업 (structural unemploment): 산업구조조정 등에 수반

- 완전고용

∙비자발적 실업이 없는 상태의 고용

∙완전고용은 실업률이 0인 상태가 아님 (자발적 실업은 사회 혹은 개인의 발전을 위해 필요함)

∙미국의 경우, 약 5-6%, 한국은 약 2-3% 수준

∙완전고용하의 GDP: 잠재GDP, Yf

- 우리나라의 실업률이 낮은 이유

1) 취업: 일주일에 한시간 이상 근로 -> 우리나라만은 아님 (ILO기준)

2) 농림어업 및 자영업자(무급가족 종사자 포함)의 높은 비중

3) 사회적 분위기 (가장)

4) 사회보장제도(실업수당)의 미비

5) 실망실업자의 높은 비중 (여성취업등)

○ 필립스곡선

- 영국의 A.W.Phillips는 영국의 경제통계로부터 물가(임금)상승률과 실업률 사이에 매우 안정적인 역의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

∙그림

- 필립스 곡선의 유도

∙총수요곡선의 shift로부터 그 관계를 유도

∙경기(경제) 변화가 수요 측면에서 발생: 총수요곡선의 shift

- 의미

∙정부가 두 마리의 토끼를 다 잡을 수는 없음

∙즉 물가안정과 완전고용(경제성장)을 동시에 달성할 수는 없다.

- 문제점

∙장기적으로는 필립스 곡선이 맞지 않음

∙정부가 총공급곡선을 변동시킬 수 있다면, 물가안정과 완전고용을 동시에 달성할 수도 있을 것임

+출처 영산대학교 이영수 교수님의 홈페이지

Posted by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