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개념정리

■ 가속도 원리

■ 객관적 가치론

■ 경제계산논쟁 [經濟計算論爭]

■ 경쟁 사회주의

■ 과점시장

■ 관방학(官房學:Kameralismus)

교환방정식(equation of exchange)

굴절수요곡선(kinked demand curve)

■ 균형이론

■ 근대경제학

균형재정승수(balanced budget multiplier)

■ 꾸르노 경쟁

내부자-외부자 이론(insider-outsider theory)

■ 내생변수·외생변수

■ 내생적 기술진보 (내성적 경제성장)

■ 독점시장

■ 디노미네이션

■ 라이프사이클가설

■ 랑게-러너-테일러 정리

루카스공급곡선

■ 미래시장/위험시장

반응함수(reaction function)

■ 베르트랑 경쟁

보상적 임금격차(compensating wage differentials)

■ 성장회계분석

■ 새케인즈학파 (신케인즈학파)

■ 세이의 법칙

■ 솔로우-스완 모형

■ 수렴논쟁

■ 승수효과

■ 시장사회주의

■ 신고전파

■ 신고전파 성장모형

■ IS-LM 곡선

■ AD-AS 모형 (총수요-총공급 모형)

완전경쟁시장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

■ 애로와 데브루 모형

■ 연성의 예산 제약 (soft budget constraint)

■ 역사학파

■ 절대소득가설

■ 정보경제학

■ 제도학파

■ 주인-대리인이론(principal-agent theory)

■ 중첩세대모형(overlapping generations model)

■ 최대원리(maximum principal) 또는 최소원리(minimum principal)

코브-더글라스 효용함수(cobb-douglas preference)

■ 코즈의 정리

■ 콜금리

■ 토빈의 투자이론

■ 파레토 효율

■ 필립스곡선

■ 한계주의(限界主義/marginalism) 경제학

■ 한계혁명

■ 한계효용

■ 합리성의 공준

■ 합리적 기대 이론

■ 항상소득가설

■ 현시선호이론

■ 효용가치론

■ 후생경제학


■ 가속도 원리

가속도 원리는 투자이론의 한 종류이며 고전적 가속도 원리와 신축적 가속도 원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선 고전적 가속도 원리란 소비재수요의 변화가 투자재수요의 증폭으로 직접적으로 반영된다는 원리입니다. 그러나 수요의 증가와 투자의 증대 사이에는 필연적으로 시차등의 gap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신축적 가속도 원리는 이러한 한계를 수식에 반영하여 필요한 투자분의 일부분만이 주어진 시간동안에 메워질 수 있다고 설명하는 이론


■ 객관적 가치론

경제학의 가치에 대한 정의의 하나. 경제학의 발생 이래 가치규정은 다양하지만 객관적 가치론(비용설)과 주관적 가치론(효용설)으로 크게 나뉜다.

객관적 가치론의 입장에서 설명한 것은 고전 경제학파와 K. 마르크스이다. 고전학파의 대표자 A. 스미스는 가치를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로 구별하고 전자는 어떤 재화의 효용, 후자는 타재화의 구매력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한편 스미스는 물과 다이아몬드의 사례에서 보는 바와 같은 양자의 양적 불비례(量的不比例)를 들어 가치의 진정한 척도(尺度)를 오로지 교환가치에 두고, 결국 이것을 노동량에 의해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 노동량을 투하(投下) 노동량(어떤 재화의 생산을 위해서 필요해지는 노동량) 또는 지배노동량(어떤 재화가 교환으로 구매할 수 있는 노동량)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D. 리카도는 스미스를 비판하여 가치의 크기는 오로지 투하노동량에 의하여 측정된다고 설명하였다. 스미스나 리카도는 가치를 교환가치와 명확히 구별하지 않았으며, 가치와 자연가격을 기계적으로 구별하든가(스미스), 또는 직접적으로 동일시하고 있다(리카도). 이리하여 그 후에는 자연가격을 사실상가치에서 분리하여 설명하는 J.S. 밀 등의 생산비설이 나타나게 되었고 다른 한편으로 투하노동설을 고수하는 리카도학파는 이윤의 발생이나 평균이윤(이윤율의 균등화) 등의 문제를 가치법칙을 기초로 일관되게 설명할 수 없으므로 해체되었다.

고전학파의 가치이론을 극복한 것은 마르크스이다. 마르크스는 가치의 척도 뿐만아니라 가치의 실체형태(내용) 및 본질도 분명히 하였다. 가치는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로 2분되는 것이 아니고 상품의 한 요인으로서 또다른 한쪽의 요인, 즉 사용가치에 대립하여 있는 현상형태가 교환가치이다. 가치의 실체는 단순히 투하노동이 아니고, 그것에서 모든 구체적·유용적 성격이 사상(捨象)된 추상적 일반노동이다. 따라서 가치의 크기는 노동의 양(시간)으로 측정되지만, 그 때 개별적 노동시간은 사회적 필요노동시간으로 환원되며, 복잡노동은 단순노동으로 환원된다. 가치는 상품 중에 포함된 노동량에 의하여 측정된다고는 하지만, 그 척도는 내재적인 것이므로 감각적으로는 확인될 수 없다. 그러므로 가치의 외재적 척도가 필연시되지만, 그것은 한 상품과 등가관계에 놓여 있는 다른 상품의 수량이다. 이와 같이 외재적 척도, 즉 교환가치로서 기능하는 다른 상품체(사용가치)가 최초의 상품의 가치형태이다.

본래 가치라는 범주는 상품경제에 고유한 것으로, 그것은 여러 가지 사회적 욕망에 의하여 배분되는 사회적 총 노동이 상품경제가 지배적인 사회에서 취하는 특유한 형태에 불과하다. 여기에 가치의 본질이 있고, 따라서 가치의 실체는 추상적·일반적 노동임과 더불어 독자적·사회적 성격을 갖고 있음이 분명해진다. 현실의 자본주의사회에서는 이윤율의 균등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가치는 고전학파의 자연가격에 상당하는 생산가격, 즉 비용가격+평균이윤으로 전화한다. 현실의 가격(시장가격)은 생산가격을 중심으로 하여 변동한다. 그러나 가격을 궁극적으로 규제하는 것은 가치이며, 한 걸음 더 나아가서는 노동의 생산력이다. 이와 같이 가치와 현실의 가격과의 관련을 분명히 하고, 또 노동과 노동력을 구별함으로써 이윤의 발생을 가치법칙을 기초로 하여 해명한 것이 마르크스의 객관적 가치론이다.


■ 경제계산논쟁
[經濟計算論爭]

사회주의 경제에서 자원을 합리적으로 배분하기 위한 계산적 기초가 있느냐 없느냐를 둘러싸고, 양 세계대전 기간에 구미 경제학자 사이에서 전개되었던 논쟁.

이 논쟁은 1920년 오스트리아 경제학자 L.E. 미제스의 논문 <사회주의공동체에서의 경제계산>으로 시작되었는데, 그 논지(論旨)는, 사회주의하에서는 생산수단이 공유이기 때문에 적어도 생산재에 대해서는 시장 및 시장가격이 성립할 수 없고, 가격이 없는 곳에서는 경제계산은 있을 수 없으므로 그곳에서는 자원이 자의적(恣意的)으로 배분되어, 결국 사회주의경제는 운영 불가능에 빠진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미제스의 이 문제 제기는, 이론적으로는 이미 1908년 이탈리아 경제학자 E. 바로네의 논문 <집산주의국가의 생산성>으로 이미 해결이 끝났다는 것이 그 후에 밝혀졌다. 바로네는 생산수단의 공유제하에서도 중앙계획 당국(생산성)이 각종 자재(資財)나 용역에 일종의 계산가격을 설정하고, 이것에 시장가격과 원리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회주의하에서도 자원의 합리적인 배분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했던 것이다.

그런데 미제스와 같은 입장에 섰던 영국의 경제학자 L.C. 로빈스와 F.A. 하이엑이 점을 고려에 넣어 30년대 중반에 사회주의경제에서 이러한 계산가격이 설정가능하다는 것이 이론적으로 증명되었다 하더라도, 현실문제로서 그렇게 하기 위해서 중앙계획 당국은 방대한 양의 통계자료를 수집·가공하여 그것에 바탕을 두어 수십만(하이엑) 또는 수백만(로빈스)의 연립방정식을 풀어야 하므로 그것은 실행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논의에 반론을 펴면서 사회주의하의 경제계산기능론을 주장한 사람은 미국의 경제학자 F.M. 테일러, A.P. 러너 및 폴란드의 경제학자이며 당시 체미중이던 O.R. 랑게 등이었는데, 그 중 가장 유력했던 것은 랑게의 논문 《사회주의 경제이론(1936)》이었다. 랑게는 이 논문에서, 첫째 사회주의하에서도 합리적인 자본배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가격을 시그널로 하여 낱낱의 경제주체의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는 뜻에서의 <가격의 파라미터 기능>이 유지되지 않으면 안 되나, 그때의 가격은 시장가격일 필요는 없으며 기술적 대체율(代替率)에 바탕을 둔 계산가격이면 충분하고, 둘째 그 실제적인 해결방법으로서 기업에 자율성(생산상·판매상의 자유)을 주고 중앙계획당국은 임의의 계산가격을 이들 기업에 전달하여, 그 결과 생기는 수급의 불균형에 따라 계산가격을 차차 수정해가면 가격의 파라미터 기능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랑게의 견해는 <경쟁적 해결> 또는 <시장사회주의>로 불렸는데, 사회주의경제의 가격메커니즘 역할이 중시되는 나머지 사회전체의 입장에서 본 계획화의 역할이 엷어져 있기 때문에 영국의 마르크스주의자 M.H. 돕은 이점을 비판하였다. 그러나 30년대에 일찍이 계획경제와 시장메커니즘(가격메커니즘)의 피드백 기능과의 결합을 내용으로 하는 분권적 사회주의경제 모델을 주장했다는 점에서 랑게의 견해는 역시 획기적인 뜻이 있으며, 동유럽국가들이나 소련의 경제개혁론(시장메커니즘도입론)에 큰 영향을 주었다.


■ 경쟁 사회주의

사회주의경제에 경쟁시장의 사고방식을 도입하여 중앙계획기관의 조작에 의해 계산가격을 설정함으로써 자원의 합리적 배분을 실현하여 사회주의가 경제적으로 성립가능함을 입증하려는 경제이론. 그 주창자는 F.M. 테일러와 O.R. 랑게이며 특히 랑게의 《사회주의의 경제이론(1938)》이 이에 대한 대표적 논문이다. 빈학파의 경제학자 L.E. 미제스는 사회주의국가에서는 생산수단의 국유화로 인해 자본재의 시장이 없어지고 자본재의 가격도 없어지므로 경쟁시장에서와 같이 경제계산이나 자원의 합리적 배분이 불가능하게 되어 막대한 자원의 낭비가 초래될 것이기 때문에 사회주의 경제의 성립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랑게는 사회주의경제에서도 경쟁시장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가격이 결정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물론 사회주의사회에는 경쟁시장이 없으므로 자본주의에서와 같은 시장가격은 성립될 수 없지만 소비선택 및 직업선택의 자유가 보장된다면 넓은 의미에서의 가격 즉 <대체물이 제공되는 조건>이나 <대체물간의 선택의 지표>로서의 가격(계산가격)이 성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과정은 사회주의경제의 중앙계획기관이 각종 생산수단에 대해 임의의 가격을 설정한 후 수요량과 공급량을 감시하여 수요초과의 경우에는 가격을 올리고 공급초과의 경우에는 가격을 내리며 수급이 균형을 이루는 가격을 발견할 때까지 몇 번이고 시도하고 수정하는 시행착오를 통해 결국 <계산가격>을 발견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중앙계획기관은 실질적으로 경쟁시장의 기능을 수행하고 공장관리자는 자본가와 같이 가격기구에 적응하여 자원의 합리적 배분이 가능해진다고 주장했다. 이와 같이 자유시장경제에 있어서의 경쟁시장의 특징을 사회주의경제 안에서도 활용하려는 데에 경쟁적 사회주의라고 불리는 이유가 있다.


■ 과점시장

과점시장이란 독점시장과 마찬가지로 시장진입에 대한 진입장벽이 존재하여, 둘 또는 그 이상의 많지 않은 수의 공급자만 존재하는 시장을 말합니다.

과정시장은 기업의 수가 매우 적기 때문에 기업들 사이에 강한 상호의존성이 있어서, 얼마만큼의 상품을 생산하고, 얼마의 가격을 매길 것이냐를 결정할 때 언제나 경쟁기업의 반응을 먼저 예상하게 됩니다.

, 상대기업의 결정에 따라 해당 기업의 최적선택이 달라지는 전략적 상황에 놓이게 되고, 카르텔 등의 전략적 선택을 하게 됩니다.


■ 관방학
(官房學:Kameralismus)

17∼18세기 독일·오스트리아에서 발달한 행정지식·행정기술 등을 집대성한 학문체계.

그 학파를 관방학파라고 한다. 당시 독일은 많은 영주(領主)의 영방(領邦)으로 분열되고, 또 30년전쟁의 피해도 커서, 관방학은 국민적 시야(視野)가 결핍되어 있어 주로 영주의 행정과 산업진흥에 필요한 지식의 집합에 머물러 있었다.이 학파의 내용은 오늘날의 재정학·경제학·행정학·법학을 비롯하여 기술공예·농림학·통계학·인구론에까지 미치고 있다. 이 학파는 전기와 후기로 분류할 수 있으며, 후기 학파는 J.H.G 유스티와 J.조넨펠스 등에 의해 체계화되었다가 해체되었지만, 학파의 국가주의적 사상은 독일의 여러 사회과학 분야에 계승되었다.


교환방정식(equation of exchange)

화폐의 유통속도, 산출물의 가치, 화폐공급을 관련 짓는 방정식(MV=PY)

물가수준은 화폐량의 증감에 따라 등락한다는 화폐수량설(貨幣數量設)을 설명하기 위해 I.피셔가 사용한 방정식.

피셔에 의하면 물가수준을 P, 당해 기간 중의 거래총량을 T, 화폐량을 M, 화폐의 유통속도를 V라 한다면, 여기에서 MV=PT라는 관계가 얻어진다. 결국 이 방정식에서 T가 사회의 수요공급에 의해 독립적으로 결정되고, V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일반 물가수준 P는 화폐수량 M에 비례하여 결정된다. 그런데 이 주장 속에는 첫째, 물가 P는 화폐지출 MV의 양(量)에 비례한다는 가정과 둘째, 화폐지출 MV는 화폐량 M에 비례한다는 가정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 완전고용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제하에서는 화폐지출의 증가는 생산을 자극하여 거래량 T를 증대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물가수준에는 비례적 영향을 주지 않으며, 경기변동의 과정에서 화폐의 유통속도도 부단히 변화하므로 화폐지출량도 결코 화폐량에 비례하지 않는다. 이러한 점에서 피셔의 화폐수량설은 비판되고 있다.


굴절수요곡선(kinked demand curve)

경쟁사가 가격인하에 대해서는 맞대응하고, 가격 인상에 대해서는 대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 과점기업의 수요곡선


■ 균형이론

경제제량(經濟諸量)이 밸런스를 유지하여 변동하는 경향을 보이지 않게 되는 상태를 균형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수요와 공급이 어떤 가격수준에서 균등하게 되는 그런 경우이다. 이 균형상태가 어떤 조건에서 성립되며, 어떤 이유로 균형이 깨졌을 때 원상태로 되돌아가는지의 여부와 그 조건은 무엇인지 등을 분석하는 이론을 균형이론이라고 한다.


■ 근대경제학
(-> 엠파스)

1870년대 이후 서유럽 여러 국가와 미국에서 발달한 이론적 경제학. 넓게는 F. 케네와 A. 스미스 이후의 경제학 전체를 가리키며 좁게는 현대에 연구·교수되고 있는 경제학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마르크스경제학에 대비(對比)하여 한계혁명(限界革命;한계효용학파가 한계분석이론을 전개함으로써 고전경제학으로부터 근대경제학으로의 전환을 마련한 1870년대의 경제학상의 변혁) 이후의 비(非)마르크스주의경제학의 거의 전체를 가리키기도 한다. 한계혁명이 혁명인지 아닌지는 이론(異論)이 많으나 영국의 W.S. 제번스, 오스트리아의 C. 멩거, 스위스 로잔의 A. 발라 등의 3명이 각각 독립적으로 고전학파의 생산비가치론(生産費價値論)을 누르고 그 대신 효용가치론(效用價値論)을 전개하였는데 그 후의 경제분석의 발전에 가져온 혁신에 의해 근대경제학의 기초가 마련되었다는 점에는 이론(異論)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한계혁명은 <고전파의 경제학이 공급·생산 및 분배를 중심으로 한 데 비해 수요와 소비라는 주관적인 요소를 강조하는 쪽으로 경제이론의 초점을 크게 이동시켰을 뿐만 아니라 경쟁적 가격이론의 정치화(精緻化), 가치·생산 및 분배이론의 통합, 경제논리의 세련(洗練) 및 분석의 수학적 방법의 확장을 포함하여 경제학 주제의 포괄적 체계화를 위한 기초를 구축하였다(A.W. 코츠)>. 그러나 혁신을 가져온 3명의 업적을 일괄하면 각각의 업적은 <단준히 형식뿐만 아니라 본질적인 내용과 의도에 대해서도 매우 중요한 차이가 있었다(W. 자페)>. 따라서 근대경제학에는 오스트리아학파(C. 멩거)·로잔학파(L. 발라)·케임브리지학파(A. 마셜) 및 북유럽학파(J.G.K. 빅셀) 등 여러 학파의 경제학이 포함된다.

1930년대가 되면 J.M. 케인스의 《고용·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1936)》이 케인스혁명을 가져오고 또한 J.R. 힉스의 《가치와 자본(1939)》이 세계 경제학자들의 관심을 모아 이른바 근대경제학의 패러다임(이론적인 테두리)이 성립된 듯한 느낌을 준다. 그러나 1970년대 전후가 되자 이 패러다임에도 문제가 제기되었다. 스태그플레이션·공해문제·국제통화문제·자원문제 등 <경제학의 위기>가 표면화된 것이다.

오늘날의 근대경제학은 패러다임의 독점보다 패러다임 성립 전의 여러 학파의 소생과 경합이 두드러진다. 거시적 이론에 대해서도 A. 스미스적 비전을 부활시키고 있다. 또 케임브리지학파의 P. 스라파의 이른바 고전학파로의 복귀, J. 로빈슨 동의 마르크스경제학에의 접근 등 오늘날의 근대경제학은 과도기를 맞고 있어서 앞날을 예견하기란 쉽지 않다. 직면하고 있는 난제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은 근대경제학이 과거에 시점과 접근방법이 다르다는 것을 이유로 배제한 역사학파와 제도학파(制度學派)와의 경계를 스스로 애매하게 하는 경우도 생기게 할 것이다


근린궁핍화정책(beggar-thy-neighbor policies)

한 나라의 국민산출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입을 금지하는 것. 그 이유는 그것이 다른 나라의 산출에는 악영향을 주지만, 그 나라의 산출에는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타국의 희생 위에 자국의 번영이나 경기회복을 도모하려는 국제경제정책. 영국의 여류 경제학자 J.V.로빈슨이 명명한 베거 마이 네이버 폴리시(beggar-my-neighbor policy)의 역어로 베거 마이 네이버(beggar-my-neighbor)란 상대방의 카드를 전부 빼앗아 온다는 트럼프에서 사용되는 말에서 유래된 것이다.

이것은 특히 세계경제 전체가 침체하여 각국이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을 때 흔히 행하여지는 국제수지 개선책으로, 자국의 수출을 증가하고 수입을 삭감하여 국내의 경기나 고용상태를 개선하게 하는 대신 타국에게는 실업 증가와 경기의 악화를 야기하는 자국본위의 경제정책을 말한다. 이를 위해서는 환율인상 ·임금인하 ·수출보조금지급 등으로 수출을 증진하고 관세율인상 ·할당제 등으로 수입을 삭감 또는 억제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시행된다.

그러나 한 나라가 이러한 정책을 채택하면, 다른 나라도 역시 같은 형태의 보복조치를 취하므로 세계무역은 침체하고 국제경제는 더욱 악화된다. 따라서 현재는 가트(GATT)나 국제통화기금(IMF) 등을 통하여 모든 나라가 국제협조의 입장을 취하도록 강조되고 있다.


균형재정승수(balanced budget multiplier)

정부지출만큼 조세를 올림으로써 지출과 수입이 같은 상태에서 정부지출로 인한 GDP의 증가분


■ 꾸르노 경쟁
(Cournot competition)

경쟁사들이 일정한 생산량을 유지하고, 그러한 생산량을 판매하기 위해 (자신의 생산이 늘어나는 경우) 필요한 만큼 가격을 인하할 것이라고 각 기업들이 믿는 과점시장. 즉 어떤 과점기업이 경쟁사들의 생산주준은

Posted by 없음!
,
The Fifth Cambridge Advanced Programme on Rethinking Development Economics

Hosted by Development Studies Committee,University of Cambridge with support from the Ford Foundation

14 July - 30 July, 2005 Queens' College, Cambridge, England.

With financial support from the Ford Foundation, the Development Studies Committee of the University of Cambridge is hosting an advanced summer programme on rethinking development economics for the fifth time. Last four years' programmes were great successes and we hope to build on them.

This summer's programme will be held at Queens' College, Cambridge, between 14 July and 30 July 2005, inclusive. The programme will admit a select group of 20 or so young academics from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transition economies, and provide them with lectures, discussion, and research workshops with leading scholars on cutting edge topics in development economics from a number of critical perspectives. The programme will fully finance travel, accommodation, subsistence, and fees for those who are selected.

Background
The failure of various Neo-Liberal reforms in numerous developing and transition economies to generate long-term growth and reduce poverty have generated such criticism that even the IMF has recently felt obliged to proclaim poverty reduction as its official goal. At the same time, as most dramatically demonstrated in the collapses of the Seattle and the Cancun talks of the WTO, there is an increasing dissatisfaction both in the developing and the developed countries with the emerging neo-liberal global economic order. The disillusionment with the orthodoxy now exists even at the heart of the "establishment", as it has been so powerfully demonstrated the events surrounding the resignations of Joseph Stiglitz and Ravi Kanbur from the World Bank a few years ago.

If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n alternative to this orthodoxy, the supply is not meeting it. The older generation development economists of the 1950s and the 1960s vintage have been, over the last few decades, edged out of most major universities in international centers of academic excellence, especially the major US universities. The situations in most developing countries are even worse. While in these countries there may be more demand for alternatives to orthodox development economics, these countries have even less capability to generate such alternatives. Due to, among other things, resource constraints, researchers and students from developing countries tend to rely on a small number of standard textbooks and the publications from the multilateral financial institutions, which severely restricts their exposure to alternative approaches.

The Programme
The programme intends to fill this important intellectual gap. It will give a select group of 20 or so young academics from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transition economies, an opportunity to gain exposure to frontier research undertaken from critical perspectives on key issues in development economics. The teaching will be conducted through lectures, discussions, and research workshops provided by some of the world's leading academics in relevant fields. All travel, accommodation, subsistence, and fees will be paid for by the programme.

Each day of the workshop will consist of two sessions, one in the morning and one in the afternoon. Each session lasts three-and-half hours. The sessions will be mostly in the form of lectures, which will consist of at least two hours of lecturing and at least one hour of discussion with some breaks. There will be three "Research Workshops" on selected topics, which will involve short presentations by a few members of the teaching staff, followed by an open discussion. There will be also informal contacts between students and faculty during lunch, tea and coffee breaks, and possibly some dinners.

The details of the provisional programme is attached at the end of this announcement.

Applications
The applicants are expected to have at least a Master's degree in economics or in relevant subjects with a strong background in economics (e.g., development studies, public administration) and currently be engaged in academic jobs (teaching or research). They are expected to have at least two years' work experience. Some may be chosen from outside academia (e.g., government, private sector, NGOs), if they have the minimum academic qualification and relevant experiences. On average, those who were selected for the last four programmes already had a PhD (or were close to finishing it) and had five years' work experience. All these are, however, basic guidelines, and all cases will be considered on their own merits.

Those who wish to apply for the course should send their Curriculum Vitae, an official transcript (academic records) from BA onwards, and one letter of reference from someone who is familiar with their academic work. For students whose main medium of instruction during their education was not English, some proof of English proficiency will be necessary. Results of standard English proficiency tests (e.g., TOEFL or IELTS) will be preferable, but other proof may be also accepted (e.g., a sample of written work in English).

Applications should be accompanied by a covering letter, indicating the applicant's full contact details (including the e-mail address, which will be the main means of communication during the admissions process) and their fields of interest within development economics, to Dr. Ha-Joon Chang, Course Director, CAPORDE, Development Studies Committee, 17 Mill Lane, Cambridge CB2 1RX, United Kingdom. The application should reach Dr. Chang by 25 April. Please note that we are not able to accept any document faxed or submitted in electronic forms, with the possible exception of the reference letter. Although a hard copy if preferred, the reference can be e-mailed, if necessary, to Dr. Chang at hjc1001@econ.cam.ac.uk. The candidates will be notified of the outcome of their applications by the middle of May.


Provisional Programme For Cambridge Advanced Programme on Rethinking Development Economics Queens' College, 14 July - 30 July, 2005.

Day 1 (Thursday, 14 July)

  1. Introduction to the Workshop (Ha-Joon Chang, University of Cambridge)
  2. Changing Perspective on Development Economics (John Toye, University of Oxford; former director of Institute of Development [IDS], University of Sussex)
  3. The Market, the State, and Institutions in Economic Development (Ha-Joon Chang, University of Cambridge)

Day 2 (Friday, 15 July)

  1. Development Policy in Historical Perspectives (Erik Reinert, The Other Canon Foundation, Norway, and Tallinn University of Technology, Estonia)
  2. East Asian Development Experience (Ha-Joon Chang)
    *Special evening talk (8pm - 10pm): On Trespassing in Economic Practice (Jose Antonio Ocampo)

Day 3 (Saturday, 16 July)

  1. Rethinking the Development Agenda (Jose Antonio Ocampo, Under-Secretary General for Economic and Social Affairs, United Nations)
  2. Transition Economies (Michael Ellman, University of Amsterdam)

Day 4 (Sunday, 17 July)

  • Rest

Day 5 (Monday, 18 July)

  1. New Growth Theory (Ben Fine, SOAS)
  2. Latin American Development Experience (Gabriel Palma, University of Cambridge)

Day 6 (Tuesday, 19 July)

  1. Globalisation, History, and Development (Deepak Nayyar, Vice-Chancellor, Delhi University)
  2. African Development Challenge (Howard Stein, University of Michigan)

Day 7 (Wednesday, 20 July)

  1. Macroeconomic Issues in Economic Development (Lance Taylor, New School University)
  2. Research Workshop on Structural Adjustment (Ha-Joon Chang; Jomo, K.S.; Deepak Nayyar; Howard Stein; Lance Taylor)

Day 8 (Thursday, 21 July)

  1. Southeast Asian Development Experience (Jomo, K.S., Assistant-Secretary General, Department for Social and Economic Affairs, United Nations)
  2. Trade and Industrial Policy Issues (Ha-Joon Chang)

Day 9 (Friday, 22 July)

  1. Big Business and Economic Development (Peter Nolan, University of Cambridge)
  2. Technology and Development (Sanjaya Lall, University of Oxford)

Day 10 (Saturday, 23 July)

  1. Stock Market and Corporate Governance in Developing Countries (Ajit Singh, University of Cambridge)
  2. Recent Financial Crises in Developing Countries (Gabriel Palma)

Day 11 (Sunday, 24 July)

  • Rest

Day 12 (Monday, 25 July)

  1. International Financial Flows (Ilene Grabel, University of Denver)
  2. Research Workshop on Corporate Governance in Developing Countries (Ha-Joon m Chang; Ajit Singh; Peter Nolan; Ilene Grabel; Gabriel Palma)

Day 13 (Tuesday, 26 July)

  1. Poverty and Inequality (John Sender,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SOAS], University of London)
  2. Feminist Approach to Rethinking Development Economics (Diane Elson, Essex University)

Day 14 (Wednesday, 27 July)

  1. Agriculture and Economic Development (Shailaja Fennell, University of Cambridge)
  2.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Economic Development (Ha-Joon Chang)

Day 15 (Thursday, 28 July)

  1. Institutions and Economic Development (Ha-Joon Chang)
  2. Globalisation and Inequality (Andrea Cornia, University of Firenze, former director of WIDER [World Institute for Development Economics], Helsinki)

Day 16 (Friday, 29 July)

  1. Global Governance Issues - An NGO View (Martin Khor, Director, Third World Network)
  2. Research Workshop on Governance Issues (Ha-Joon Chang; Andrea Cornia; Martin Khor, Barbara Harriss-White)
    *Farewell dinner

Day 17 (Saturday, 30 July)

  1. Social Institutions and the Underdeveloped Economy (Barbara Harriss-White, University of Oxford) (to be confirmed)
  2. Concluding Workshop (Ha-Joon Chang, Course Director; two Deputy Course Directors - to be selected)

Please note that the timetable is still provisional. Some more evening talks are likely to be organised.
March 14, 2005.

Posted by 없음!
,

Traditional economics is concerned primarily with the efficient, least-cost allocation of scarce productive resources and with theoptimal growth ofthese resources over time so as to produce an ever-expanding range of goods and services. By traditional economics we simply mean the classical and neoclassical economics taught in mostly American and British introductory textbook.Traditional neoclassicl economics deals with an advanced capitalist world of perfect markets; consumer sovereignty; automatic price adjustments; decisions made on the basis of marginal, private-profit, and utility calculations; and equilibrium outcome in all product and resource markets. It assumes economic "rationality" and a purely materialistic, individualistic, self-interested orientation toward economic decision making.

Political economy goes beyond traditional economics to study, among other things, the social and institutional processes through which certain groups of economic and political elites influence the allocation of scarce productive resources now and in the future, either exclusively for their own benefit or for that of the larger population as well. Political economy is therefore concern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economics,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role of power in economic decision making.

Development economics has and even greater scope. In addition to being concernec with the efficient allocation of existing scarce (or idle) productive resources and with their sustained growth over time, it must also deal with the economic, social, political,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both public and private, necessary to bring about rapid (at least by historical standards) and large-scale improvements in levels of living for the masses of poverty-stricken, malnourished, and illiterate peoples of Africa, Asia, and Latin America.........................................from "Economic Development", Michael P. Todaro.

Posted by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