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 해당되는 글 16건

  1. 2014.02.16 나무의사 이야기
  2. 2012.10.20 근대의 탄생
  3. 2010.07.09 일본과 동북아
나무를 진찰하는 여자의 속삭임
오카야마 미즈호, 염혜은 옮김, 디자인하우스, 2013


일본의 나무의사가 쓴 글을 모은 책
나무의사라는 직업에 대한 소개는 물론, 어떻게 진단과 치료를 하는지, 나무별로 성격은 어떤지 등을 짧은 글에 담았다 


나무의사가 우리나라에도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나무망치를 들고 다니면서 두드려보면서 나무가 아파하는 데를 파악하고 썩은 부분을 잘라내고, 가지치기를 어디에 해야할지 살펴보는 일을 한단다
나무가 아프면 이를 극복하기 위해 뿌리나 줄기에 혹을 만들어 내거나 줄기뿌리를 땅 밖으로 내놓거나 하면서 살아나간단다
참 열심이다 

요요기공원이나 몬주소나무를 보러 가면 좋겠다 
우리나라의 나무도 제대로 모르지만


Posted by 없음!
,
근대 도시공간의 문화경험
도시공간으로 보는 일본근대사
나리타 류이치, 서민교 옮김, 뿌리와이파리, 2011


근대 초기의 일본을 다룬다 
도시를 다룬다기보다는 도시를 다룬 글을 분석하는듯-생각과는 조금 다름


여튼 근대에 들어서면서 생긴 변화를 다룬다 
일종의 근대적 의식이 필요해지면서 바뀌는 도시공간의 양상들
대표적으로는 공중위생, 공동의 언어, 평균적 인간의 탄생-획일화
번화가의 등장-아사쿠사, 긴자
표준어의 등장

좀더 공간적인 변화를 상세하게 다루면 좋겠다는 생각
Posted by 없음!
,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 : 신지역주의 선언
와다 하루키, 이덕원 옮김, 일조각, 2004
和田春樹, 東北アジア共同の家,  平凡社, 2003

와다 하루키가 구상하는 동북아시아의 미래 
핵심은 남북, 일, 중, 러, 미+몽골이 참여하는 동북아의 공동안보 및 공동번영 틀거리를 만들자는 내용이다 

이 과정에서 일본의 민주화, 또는 공고한 평화국가 구축과 한반도의 중심성이 중요하다
한반도의 냉전 해결과 통일한국이 주도적으로 이니셔티브를 쥐고 일본은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한다 
일본이 미일동맹을 벗어나는 상황을 가정하지만, 사실은 이 자체가 엄청난 도전이다
-한반도의 통일 또는 이니셔티브 창출과 더불어 

미국과 나아가 호주, 뉴질랜드 등을 굳이 동북아 속에 포함시키는 것은 일본 내 동북아 논의의 전반적인 흐름이라고 하는데 와다도 여기서 벗어나지 않는다 
-이는 미국을 공동체 내에 끌어들여 제도적으로 그 영향력을 관리(?)하는 것이겠으나 지역주체라기 보다는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주체로 보는게 더 타당하다는 생각은 든다
-떄문에 어느 면에서는 전반적으로 묵직한 문제를 굉장히 이상주의적으로 풀어낸 듯한 느낌이다
-그러나, 어쨌건 지향을 분명히 하는 것은 중요한 일일 수도


책은 각국 또는 각 지역공동체-ASEAN, ARF 등의 상황을 자세히 서술하는데, 이를 통해서 각국의 어떤 역사나 상황이 지역공동체 수립을 방해, 또는 촉진하는지 서술하는듯하다
-사실 논문으로 평가하면 좀 불필요한 측면도 있으나, 단행본이므로
-한반도의 중심성에서는 시민사회의 역할을 언급하긴 한다

환경문제를 언급한 것을 제외하면 경제통합을 통해 정치공동체를 이룬다는 기능주의적 시각
-도데체 통합이나 협력과 관련해 이 외의 논의는 없나?

북핵문제 해결 이후 지역 내 새로운 질서의 구축 관련해서는 주목해 볼만하다 
일본의 현재 변화가 어느 방향으로 가는 지도 체크할 것
Posted by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