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학'에 해당되는 글 6건

  1. 2013.08.07 3천 년 도시의 진화/퇴행
  2. 2010.07.20 세계는 평평해지고 있나?
  3. 2010.07.18 localism, regionalism
도시, 역사를 만들다 
조엘 코트킨, 윤철희 옮김, 을유문화사, 2013
Joel Kotkin, The City: A Global History, 2005

 
꽤나 유명한 상을 받았다는 책이다 
입문서로 적합한 3천여 년에 달하는 동서양의 주요 도시들의 굵직굵직한 사건들을 담았다 
워낙 압축적인 터라 다소 산만하다는 인상도 


앞 부분의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그리스부터 그리스 로마에 이르는 1/3은 지루하다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의 지리, 특히 관개 시스템의 유무가 서로 다른 통치체제를 낳았다는 설명은 제외 
르네상스 시대의 서양, 산업혁명 이후의 영국과 미국 등에서 도시의 변화는 정치적, 경제적 변동과 동시에 설명되기 때문에 흥미로워지기 시작 
도시의 미래-과도한 불평등과 그것이 낳은 안전의 위협, 문화 극장에 불과한(?) 하루살이 도시 등
에 대한 생각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특정한 도시적 경험-이것이 서울에 얼마나 있는지 모르겠지만-의 필요성에는 공감한다 
-지금의 서울은 박제된 듯하다는 생각이 기본, 생활반경이 좁아 서울의 일부만 놓고 하는 말이지만
-일정하게는 교외를 찾아 자신의 왕국의 건설했던 상류층에 대한 반발이기도
지은이 주장의 핵심은 신성함, 안전함, 번화함이지만 
-서울의 경우 앞 부분은 사라지고, 인공적인 번화함만 남은 듯하지만


지리학자 역시도 급진적일 수 있다는 것, 혹은 지리학자는 공간의 물질성에 힘입어 더욱 현실적인 급진성을 보일 것 같다는 생각
도시 관한 책 중에서는 정치경제와 공간의 교차 부분에만 관심이 있는듯하다  
Posted by 없음!
,
공간의 힘 : 지리학, 운명, 세계화의 울퉁불퉁한 풍경
하름 데 블레이, 황근하 옮김, 천지인, 2009
The Power of Place : Geography, Destiny, and Golbalization's Rough Landscape

세계화를 반기는 이들은 이를 통해 더 많은 이들에게 기회가 주어지고, 생활이 나아지고 있다-국경을 넘나드는 자유로운 이주를 통해-고 주장한다 
거기에 정면으로 반대하는 책
제목 그대로 세계화의 진전은 수렴으로 이어지지 않으며, 지리적 위치가 여전히 강력한 힘을 갖고 있다는 거다
-아프리카와 유럽의 극명한 대조를 생각해 보라 

언어, 종교, 보건, 위험, 국경을 통한 외부와의 연결 정도-연결이 잘 되어있을 수록 기회가 더 많아진다, 도시화 등 각 부분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다룬다 


공간의 힘 자체가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때도 있으나 
전반적으로는 세계화가 불평등한 세계에 미치는 풍경을 묘사하는데 그치고 있기도 하다 
-공간의 영향력에 대한 걸출한 설명은 총, 균, 쇠
-전반적으로 개발학 관련한 책은 descriptive 한 설명이 많은듯 하다 

장벽을 낮추자고 제안하지만, 어떻게 현재 진행되는 세계화의 동인-이익 추구-를 넘어설 수 있을지에 대한 대안도 불투명한 것은 아쉬움
세계화가 만들어내는 풍경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꾀한다면 유용할듯
Posted by 없음!
,
Uneven Development and Regionalism
Keshad Das, Economic and Political Weekly, Vol. 39, No. 45, 2004

불균등 발전을 설명하는 이론을 역사적으로 개괄하며, 지금까지 분명한 이론이나 적확한 설명이 제시되지 못 했음을 밝히는 논문
지역개발, 지역발전에 대한 실용적인 접근은 많으나 이론은 부재하다는 지적

농촌-도시를 다루었던 Von Tunen 부터 시작해 Marx의 도시화 논의-이후 Harvey에서 심화되었던
세계 수준의 불균등 발전 설명을 시도했던 종속이론, 현재의 neo-localism까지를 다룬다 
글쓴이는 현재를 neo-localism 으로 설명하며 neo-fordism, embeddedness 등 다양한 사조를 생산 시스템에 중심을 둔 설명이라고 묶는데, 사실상 이것이 저개발국 지역개발 또는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없다고 주장한다 

정치경제학에서 보자면 region이 독립된 주체로 사고되기 힘들기 때문에 어려워지는 측면이 있다 
다만 지리학에서의 최근 진전-지리적 장소와 공간적 장소의 구분-은 높이 평가한다 


특히 안보 영역에서는 regionalism이라고 하면 국경을 넘는 것을 생각하게 되는데-Buzan의 책에서처럼, 
경제나 개발에서의 regionalism은 국가 단위의 하부조직을 가리키는 듯하다-때로는 localism과 섞여 쓰일 때도 있다 
분명히 구분해 둘 필요가 있음
Posted by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