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닌'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9.07.30 적색 개발주의
  2. 2008.10.06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핀란드역 2

적색 개발주의

study/others 2019. 7. 30. 21:02

러시아 혁명사 강의 
다른 미래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박노자, 나무연필, 2017

박노자의 러시아 강의를 묶은 책이다 
강의를 묶은 것이므로 대중서 성격이나, 고민해 볼 질문을 던진다


레닌, 트로츠키, 스탈린, 유럽의 좌파-사회민주주의 정당, 아시아 좌파 정당의 간략한 역사를 서술하고 
후발 개발도상국에서 사회주의 실험이 결국 개발주의로 점철되었다고 밝힌다
토니 클리프의 <국가자본주의> 대신 <적색 개발주의>라 지칭하는 것은 국가 주도의 축적, 성장 과정에서도 비자본주의적 산업화와 더불어 무상의료, 무상교육 등이 이루어지고 이윤 극대화가 아닌 '정치적 분배'가 동시에 이루어진다는 때문 
- 예컨대 경쟁이 양산하는 비효율성 최소화
- 노동자 간 경쟁의 최소화
- 사적 소비는 억제되나 문화적 소비 향유=소비의 대상 차이 
- 공동체의 유지

그러나, 혁명 이후의 국가에서는 (관료적) 이해관계가 중심이 되며 자원 배분의 비효율성과 노동생산성 저하가 이루어졌다고 본다 
물론 개발주의 자체에 대한 옹호는 아니며, 소련 중국 북한이 그러했듯이 농업 잉여의 착취에 기반하긴 한다


굳이 따지면 박노자는 스탈린의 <일국 사회주의>가 결국 개발독재로 회귀되고 만 점에 주목하므로 세계혁명을 염두에 둔 트로츠키주의에 가까운 듯하다
그러나 <국가자본주의>라는 언명이 비자본주의적 개발의 특수함을 포착하지 못 한다고 보는듯
맑스 레닌 트로츠키에 이르기까지 <국가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던 점 또한 한계로 지적하고 
- 이건 당대가 낳은 naivity일 수 있음


여튼 대안적인 발전을 사고하는데 있어 적색 개발주의가 함의하는 바가 있다는 동의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벌어진 극대화된 개발 지상주의가 외면한 문제들에 관심을 기울이므로 - 비교정치적 관점에서는 이러한 우리나라도 그나마 분배 문제가 조금 나은 편이라고 할 지경이니

사회주의가 발전의 다른 방식이라는 주장은 베링턴 무어에서 비롯된 오래된 격언이긴 하지만
사회주의, 특히 북한이 보여주는 저성장에 대한 혐오는 다른 상상을 완전히 봉쇄하는 지점이 있어서 생각해 볼 대목
- 예전 붕괴 전 소련에서 유학한 누군가에게서도 소련의 장점에 대한 말을 들은 적이 있다 
- 여기서도 레닌, 트로츠키의 혁명적 열정과 스탈린의 권력추구적 욕망을 대비시키고, 김일성은 스탈린보다도 더 극단화된 개인으로 평가되지만, 제도적 측면에서는 공통성이 더 많다 

Posted by 없음!
,
핀란드 역으로: 역사를 쓴 사람들, 역사를 실천한 사람들에 관한 탐구
에드먼드 윌슨 저, 유강은 역, 이매진, 2007


이건 그 유명한 맑스와 엥겔스, 레닌과 트로츠키에 대한 이야기다
덤으로 베른슈타인과 카우츠키, 라살도 나온다
원래 저자의 의도는 그런 것이 아니었겠지만, 그냥 그렇게 읽혔다 당대를 반영한 당대의 인물들, 역사를 정직하게 마주한 사람들이 덤은 아니다

첨으로 '대구 할멈'이라고 불리던 레닌의 부인에 대해서, 하염없이 인내해야 했던 맑스의 부인에 대해서 알았다
'베른슈타인류의 수정주의'라 불리던 주장의 실체를 흘낏 였봤으며
'무정부주의자 바쿠닌'이 왜 무정부주의를 선택했는지 그의 경험에서 알 수 있었다
역시,
역사와 맥락을 모른채 단어들만 가지고 판단을 하는 것은 정말 위험했다


20세기 미국이 낳은 걸출한 문필가라는 에드먼드 윌슨은 688쪽에 달하는 책의 1/3을 맑스와 엥겔스에 대해서 할애하고 있는데
그에 앞서서는 생시몽과 미슐레, 오언과 푸리에 등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이 나온다 이들 역시 당대의 혁명적 분위기와 당대의 사상사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는 것은 맑스와 엥겔스, 트로츠키와 레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라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

맑스와 엥겔스의 지적 관계와 그들의 사생활, 거기에서 파생된 판단들은 아주 흥미롭지만
개인적으로는 트로츠키와 레닌 부분이 더 끌린다
앞장들이 당대의 사상사조, 사회상황, 그리고 이론과 실천의 문제가 복잡하게 얽힌-특히 헤겔의 관념론에 관한 부분은 잘 이해가 안 될 정도, 독일철학은 넘 어렵다- 서술이지만,
혁명 시기의 이들은 매우 직선적이다
그들의 판단 역시도 매우 직선적인다-혁명의 진로, 혁명의 실천과 관련한 것이기에 그것은 굳이 이론화될 필요가 없었다는 생각마저도
어느 나라에서건 혁명은 비슷했을 듯

마지막에서 앞선 2개 장의 제목
트로츠키-자신과 역사를 동일시하다
레닌-역사와 자신을 동일시하다
의 미묘한 뉘앙스 차이가 그들의 기질 차이를 정확히 반영하는 것의 포착과
핀란드역으로 돌아간 레닌이, 그 유명한 장갑차 위에서의 연설-당시 연설은 정세판단을 잘못 한 것이었다고 생각하지만
을 하는 마지막 장에서 책은 거의 정점을 이룬다

아주 냉정하게 사실만을 서술함으로써 의미를
무엇보다 작가와 역자의 수고로움이 앞선 그 어느 정보다도 빛을 발하는 대목이다
개인적으로 아주 좋아하는 글쓰는 방식이기도 하고-건조하고, 냉정한, 팩트와 팩트의 꽉 짜인 나열


여튼 레닌이 타고 온 기차가 전시되어 있다는 핀란드역은 지난 상트페테르부르크 여행(?)에서 가보지 못한 곳이다
여러 모로 아쉬워지는 지점이다 상트에서는 혼자 돌아다닐 시간마저도 있었기에
나머지 5개 역 중 3개가 모여있는 광장에는 갔었다
낫과 망치, 혁명의 흔적이 거의 사라진 상트에서, 그곳의 역사에는 남아 있었다
Posted by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