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에 해당되는 글 5건

  1. 2015.09.29 도시 자원, 권력, 정치
  2. 2015.08.08 하나의 구조이론
  3. 2014.08.06 사회학 에세이 부분

메트로포리스 서울의 탄생

서울의 삶을 만들어낸 권력, 자본, 제도 그리고 욕망들

임동근 김종배, 반비, 2015


팟캐스트를 통해 진행된 도시공부를 묶은 책

주택개발과 도시개발/계획의 역사와 현재를 포괄적으로 다룬다



부제에서 보는 것처럼 단순한 자본 이전만을 분석하는 게 아니라 <제도적 뒷받침>을 함께 검토한다는 점이 강점이다

-예컨대

간간이 등장하는 <통치술>이라고 표현되는 단어는 푸코의 통치성 governmentality인듯


전반적으로는 택지-아파트, 다세대 다가구, 오피스텔, 고시원 등-에 대한 내용이 많은데 아마 삶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듯

그러나 사실상 개발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산업단지로의 용도변경이라고-정해지면 변화의 폭이 크다



여튼 개발과 관련한 한국적 특수성

선분양제+분양가상한제로 건설사, 정부 돈 들이지 않고 아파트 공급

전세는 매매 회전율 증가하는 역할, 매매시장 신호탄이자 부동산시장 개입 signaling

건설 부문에 잠긴 설비가 너무 많다는 문제

IMF 이후 소득에서 임대로-이 지점은 건물주와 금수저, 흙수저 관련한 논의를 보면 정확한 지적인듯 실제 현실에서 지각되는 정도는 15년 정도 lag가 있다



세계적 보편성

체비지-토지구획정리로 지주 땅을 받아 국가가 공공시설 건설

수요 생기면 공급 과다-초과공급 해결 위한 수요 찾으려는 발전 사이클-오피스 과잉으로 복합용도공간 오피스텔 등장, 아파트 과잉 시 재건축시장 by 삼성

도시 자본가 구성에 따라서-개발업자 vs. 임대업자 지구단위계획 고도제한 발생

-중국 자본은 임대수익 중심이라고, 테헤란 vs. 마포

-유지는 임대개발로 건물 개발하지만 자본은 초국적으로 치고빠지기, 갈등 조정이 중요

경기후퇴시 미래지향적 건설토목 발주


생각할 문제

지역정치, 마을만들기, 각종 자치에서 지역 유지의 중요성

-일본의 마을만들기는 우파 유지들의 움직임에서 촉발되었다고

-임동근은 자치가 너무 선하게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고 <어떤 자치>가 중요하다고 지적하고 정치학의 관심을 촉구, 거버넌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일듯

돈의 흐름과 정치의 흐름-상인과 어떤 관계를 맺느냐가 중요, 특히 돈을 어디서 어떻게 돌리느냐

자본은 분권화 선호-중앙정부 힘 약화되고, 지방정부는 광역/기초로 나누어 서로 경쟁하도록


시정개발연구원, 서울학연구소, 서울시 중요


팟캐스트를 정리한 거라 읽기 편하지만, 참고문헌이 빠져 있다는 결정적인 문제

도시계획의 역사 제대로 알아볼 것

-zoning 등 각종 제도, 규제, 나아가 규제 완화의 흐름

자본 또는 돈의 흐름, 누가 그 흐름에서 이익과 권력을 얻는가를 고민



임동근은 정치지리학자

알고 보니 아주 예전에 샀던 <도시에서 유목하기>의 저자이기도

아직 박사논문이 출판되지 않았다는데, 빨리 되기를 매우 기대 중

자본주의 국가를 대상으로 논문을 쓰게 되면 정말 큰 도움이 될듯-일단은 사회주의 국가의 정치지리학을 알아봐야

Posted by 없음!
,

A Theory of Structure

Duality, Agency, and Transformation

Swell,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98, no. 1, 1992


예전 강의계획서 중 구조-행위자 부분

기든스의 구조 개념을 정치하게 다듬어 발전시킨 이론



기든스의 '구조의 이중성',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두 개념에서 출발해-특히 기든스- 행위자와의 관계, 구조의 변화를 분명히 하는 이론을 제시한다

<구조는 사회체계를 구성하는 실천의 매개이자 결과다>는 기든스의 정의에서 구조와 행위자는 서로를 전제하며, 구조는 knowledgable 인간 행위자에 의해 enact된다

일련의 과정을 강조하기에 <구조화 이론 the theory of structuration>이라고


스웰의 불만은 기든스가 구조를 <규칙과 자원> 모두 포괄하는 것이라, 몇 가지 논증을 통해 rule-based notion of structure 정립한다

-구조는 virtual이므로 자원 중 일부만

-비트겐처럼 일반화 가능한 과정 generalizable procedure로 규칙을 이해

여기서 자원은 구조의 효과이지, 구조 자체가 아니다-정확히는 effects of cultural schema (규칙, 구조에 대한 대응)


나아가 구조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몇 가지 명제를 도입한다

구조의 다중성, 스키마의 tranposability (일반화 가능성), 자원 축적의 예측불가능성, 자원의 다의성 polysemy, 구조의 교차 intersection

이렇게 볼 때 knowlegable 행위자는 제한된 조건에서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조건은 구조의 깊이와 권력에 따라 상이

여기서 깊이는 구조의 schema dimension, 권력은 자원 dimension



실제 자주 언급되는 이론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설득력 있음

어느 정도로 일반화되어 쓰이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으나, 그 후에는 무리없이 이용 가능할 듯


스웰은 사회사의 대가로 알고 있었는데, 사회사에서 구조를 많이 인식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는데 흥미로움

논지를 전개하는 방식이 깔끔한데다, 사례가 아주 이해가 쉬워서 이해에 큰 도움이 된다

Posted by 없음!
,
From Max Weber: Essays in Sociology
translated, edited by H.H. Gerth and C. Wright Mills, 1946
Introduction and Power

역시 다른 수업의 교재였던 책
과학, 종교, 사회구조 등의 장이 별도로 있으나 skip


어떤 식으로 책을 구성했는지 잘 드러나지 않아 헤깔리기는 하지만
-원래 출처, 연도가 나오면 좋겠다 
주제별로 분류한 것은 유용하다 

전반적으로 베버의 글쓰기는 옮긴이도 지적하지만, 간결하지 않다
-독일어의 문제인지, 옮긴이의 지적처럼 주저함이 많아서 그런 건지는 잘 모르겠다
권력, 국가, 관료제 등에 대한 범주와 개념을 일별하기에 도움이 된다-결국 여기서 파생되고, 덧붙여지고 한 부분이 많으므로
다만 중국이나 인도, 고대 사례 등이 위의 근대적 개념을 설명/해석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는 모르겠다 


베버는 카리스마와 합리화가 공존할 수 없다고 지적하는데 
극장국가에서는 북한을 그렇게 개념화 하고 있는듯? 혹은 북한이라는 근대 국가에서 합리성을 제거한 오류



대충 필요한 부분만 읽어낸다는 생각이 들기도
수업을 들었음 더 좋았겠지만, 그럴 기회는 없을 듯하다
Posted by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