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에 해당되는 글 6건

  1. 2024.06.08 기술과 엔지니어, 한국
  2. 2016.06.06 제조업과 사람의 힘
  3. 2014.01.04 혁신의 조건

한국 엔지니어의 형성과 발전
한국의 과학과 문명 
한경희, 들녁, 2021

한국 과학기술혁명의 구조
김근배, 들녘, 2021

불과 20년전만 하더라도 이공계 위기라는 말이 더 흔했다
지금은 의학의 독주 하에 이공계 선호, 인문계 고사가 일반화되었지만 


한국은 기술 현대화에 성공한, 세계사적으로 드문 사례라 한다 
선진국 서구 과학의 확산과 도입에 의한 과학 발전이 아닌, 로컬화된 발전을 이루었기에, 서구 중심의 설명을 넘는 접근이 필요함은 자명하다 
- 과학과 기술을 별개의 단어가 아닌 과학기술로 통칭하는 것은 한국과 일본에 고유하다고 한다; 한국 경우 과학보다는 기술에 보다 강조점이 놓인 기술 의존적 과학 개념 
- 테크노크라트라는 용어는 프랑스에서 시작
- 공학의 등장, 공업의 산업으로의 전환도 흥미로운 지점 

 

김근배는 제도-기술 도약론을 제시해 제도가 먼저 (국가에 의해) 만들어지고 이 제도가 과학기술 도약의 기반이자 산실, 실행을 촉발하는 압축 발전을 이루었다고 본다 
한국은 근대 과학의 직접적 유입이 지체되고 '번역의 시대' 또한 경험하지 않으며 1960년대 들어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자사회'가 자리잡았다  
서구의 과학 전문가주의와 달리 우리의 과학기술자사회는 실용적, 정치의존적 성격을 지니며-따라서 정권 교체에 따라 잦은 제도 변동이 발생한다- 제도는 도약의 디딤돌로 작용한다
해외에서 유학한 인재의 지속적 유입, 선진국 지향 과학기술의 '직접적' 도입, 공동체적 노동과 학습을 강조하는 조직문화, 실무 중심적 '고강도' 실행이 성과를 도출하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했다
- 우리 모두가 시험 문제풀이를 아주 오랫동안 훈련받아 임무 지향적 실천에 익숙하다는 대목은 웃프다

특출난 인물이 없는데, 과학기술이 이상하게 발전한 한국의 특징은 아주 작은 혁신이 많이 쌓이고 결합되어 큰 변화를 가져온 '소폭다량 혁신'이라는 지점도 수긍이 간다
연구자 평균 역량의 우수성, 많은 연구자의 집단적 활동, 고강도 고지속 활동은 개도국에 적합한 혁신일 수 있다고

 

한경희는 개념사, 사회사적 시각에서 ANT를 통해  '엔지니어'의 등장을 촘촘히 설명한다
기술직-산업전사-인적 자원-과학기술/글로벌 인재로 정책에 따라 다르게 호명되고, 
(김근배의 글이 밝히듯) 대학-국가-기업으로 기술 개발의 장과 주요 주체가 변화한 것과 각 개념의 등장과 변화는 상호 조응한다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는 십여 권에 달하는 것으로 보인다 
시간이 날 때 조금씩 꺼내 읽으면 흥미로울 것 같다 
사회적 지위와 전문성을 강조하는 '구별짓기'가 아닌 사회 각 부분과 새로운 관계를 발전시키는 '관계맺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과학기술자 또는 엔지니어와 사회의 상호작용에서 눈을 돌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Posted by 없음!
,

축적의 시간

서울공대 석학 26인이 던지는 한국 산업의 미래를 위한 제안

한종훈 외, 지식노마드, 2015


읽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책

공공도서관에 전자책으로 비치되어 있을 정도로 대중적이기도



또 읽은지 시간이 오래 돼서 까먹었지만

기본적으로는 압축성장 과정에서는 다른 기업의 기술을 들여와 배워 적용하는 방식으로 경제성장과 혁신이 가능하지만,

현재 조건에서는 오랜 시간이 걸려 축적되는 전문성이 중요하기에 우리 기업이 위기에 놓여 있다는 점

-기본적으로는 한때 모 기업 회장의 샌드위치론과 동일한 진단이다

-당시에는 기업인의 말이 국가적 화두가 된 점과 지들이 연구개발에 투자하지 않고 몬 소리냐는 생각이 강했지만


여튼 여전히 경제의 기본 주체가 대기업인 상황에서 한국 기업의 경쟁력이 국제적으로는 몇 년 내 위협받을 수 있는 위치라는 점애서 위기

근본은 축적의 중요성을 경험할 시간도 사회의 속도도 아니었다는 점

예전의 압축적 근대화에서도 그렇지만, 현재도 마찬가지라는 게 가장 큰 문제

-tacit 지식과 전문성이 계속 중요해지는데 기업 고위층에 엔지니어가 없어 그런 생각을 못 한다는 사례는 의미심장

-기업의 호흡 뿐 아니라 정부의 호흡도 똑같다는 지적에서 계량의 한계가??



공대 교수들의 진단이라 그런지 몰라도

혁신에 대한 유의미한 진단에도 불구하고

한 사람/한 기업을 잘 키워서 나머지에게 도움을 준다는 기본적으로 Reich와 동일한 시각

이건 어떻게 보면 매우 신자유주의적인 처방


문제는 이러한 처방마저도 제대로 실행되지 못 하는 현실과

그 외의 처방-독일식? 을 상상하거나

그 처방이 워낙 폭넓은 전환을 수반하는지라 정치적 설득력을 갖기 어려운 어려운 한국의 정치경제적 조건이겠지만

Posted by 없음!
,

혁신의 조건

study/politics 2014. 1. 4. 22:11
Innovation, the Missing Dimension
Richard K. Lester, Michael J. Pior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90년대 미국의 경제 발전을 혁신이 가능한 때문으로, 그 혁신은 분석적+해석적 경영 덕분이라고 진단해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수업시간에 읽을려다가 만 책, 왜 고른지 알 듯하다


새로운 디자인의 제품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전화기, 의료기기, 의류-리바이스의 경영진, 기술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파악한다 
기술 발전, 경쟁 격화 등으로 대량생산이 소규모 생산으로 변화하면서 융합의 중요성이 커졌는데 어떻게 융합하고 각 부문간 혁신을 이룰 것인가는 
합리성에 입각한 분석과 더불어 창조성에 입각한 해석이 중요하고 
이 해석은 목적-수단을 전제한 프레임워크가 아니라 자유로운 대화 속에서 가능하다 

분석 vs. 해석의 역할은 어떤 경영, 어떤 산업, 디자인 내에서도 긴장하고 
이 두 가지를 동시적으로 가능케 하는 경영자의 역할이 중요해진다 


시장 메커니즘, 인센티브의 도입, 탈 규제로 90년대의 혁신이 가능했다는 주장에 대해서 정반대의 정책을 도출한다 
시장 메커니즘에 모든 것을 맡겨두면 해석이 가능한 대화공간은 감소할 수밖에 없다 
그러하기에, 이러한 공간을 보존하기 위해서 공적 영역을 보존해야 된다는 것-대학 연구소, R&D, 규제를 논의하는 기구 등이 레스터, 피오레가 주장하는 공적 영역
-공적 연구가 혁신을 가능케 한다는 통찰은 정확하지만, 정책 부분에서는 다소 비약
-예컨대 혁신은 해석, 창조성이 가능해야 한다는 점은 정확하지만, 대규모 혁신이 공적 영역에서만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특히 위에서 예를 든 산업의 경우를 보라 


합리성의 한계는 분명히 지적되어야 한다 
시장만이 혁신을 담지하지는 않는다 
박근혜의 창조경제는 경제 발전을 위해 혁신이 필요하다는 지점은 포착했지만, 이를 어떻게 가능케 할지에 대해서는 전무
시장 혹은 합리성의 한계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겠다
Posted by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