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에 해당되는 글 11건

  1. 2015.06.28 자본주의 발전과 민주주의
  2. 2015.02.04 세계체제 분석
  3. 2013.12.29 통합적 자본주의 역사

Capitalist Development and Democracy

Rueschemeyer, Huber and Stephen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다른 수업 중의 책

전부는 아니고, 서유럽과 북미 관련한 일부만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발전에 대한 여러 의견 중의 하나지만

<사회계급>이 민주주의를 이끈다는 명제를 증명하고자 한다 정확히는 <사회계급>이 민주주의에 저항하는 동시에 이를 추진해 나간다

-부르주아 없이 혁명 없다는 베링턴 무어의 명제와 맞닿는 지점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 점도

따라서 민주주의의 가능성(chance)는 계급권력의 균형에 따라서 결정된다

<상대적 계급권력 모델 relative class power model>이라고 명명

-정치경제적 접근법을 취하고 있어 꼼꼼이 읽어내야 할 필요


계급과 계급조직, 계급배치(class constellation)을 구분하며,

계급을 분석할 때 정향이나 이데올로기를 포함해 설명을 시도하며, 이익 추구 측면에서 분석

-그러나 올슨처럼 고정된 이익을 갖는다고 보지는 않는다

노동계급 조직 규모와 밀도가 민주주의 진전에 중요하다는 가설을 제공

그러나 변수 측면에서는 조직화 측면에서 계급이익의 사회적 구성, 노동계급의 동맹이 누가 되는지, 기회와 위협에 대한 인식

이외에도 제약조건으로 구조를 다루며, 외부자원에 대한 의존도 검토한다



권력을 핵심으로 검토하고 정치경제학적 접근을 취한다는 측면에서 꼼꼼이 해부해 볼 필요가 있는듯

이 정도로 간결한 틀로 정리해 내기가 쉽지 않을 것이기에



러쉬마이어는 bringing the state back in의 에디터 중 한 명이다

-여기서도 state autonomy와 민주주의를 검토하는 부분이 있다

그 책 것 중 사회 내의 계급갈등과 국가에 대한 글을 다시 읽어볼 필요

Posted by 없음!
,

World-Systems Analysis

An Introduction

Immanuel Wallerstein, Duke University Press, 2004


세계체제 분석에 대한 소개

예전에 받은 강의계획서의 역사 부분, 한 챕터만 읽으면 되는 걸 모르고 그냥 읽음



세계체제 분석은 구조적인 면만을 강조한다고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다 

역사 파트에 속해있던 거라, 역사적인 맥락을 살피는데 유용하며,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 역시 비교적 정치하

대표적으로 사회적 현실, (인민)주권은 근대 들어와서 구성된 것

특히 사회과학의 발전과정과 주요 논쟁, 맑시즘의 AMP와 종속이론, 자본주의의 기원-돕스위지 논쟁 등을 살핀 부분이 유용


월러스틴은 totality를 강조해 민족국가 대신 세계경제, 세계제국, 세계체제로 발전해온 historical system을 다룬다 

또한

세계체제론에 대한 비판 1>장기지속이 아닌 국가가 분석 대상이어야-환원의 부족 2>비 임노동자, 나아가 토대의 경시 3>국가 자율성 경시에 대한 반박과 재반박을 통해 자신의 입장을 밝힌다 

-특정 시공간 TimeSpace 내에 사회적 현실이 존재한다는 지적에는 동의하지만, 꼭 전체로서의 시스템을 봐야하는지는 의문


비교적 최근에 출판된 책이므로 세계체제의 위기를 좀더 상세히 거론하지만

-자본주의 발전이 국가체제의 재생산 기반을 저해

-더 이상은 이윤 극대화를 위한 공간 확장이 불가능

이에 대한 대안으로 다보스 대 포르투 알레그레의 투쟁-사회에 대한 정의-을 너무 긍정적으로 바라본다는 생각도

-포르투 알레그레는 다양한 대안과 개념을 제시하지만, 물적 기반을 바꾸지는 못 한다 



세계체제론에 관심을 둔 이들이 입문서로 읽기에 적당하며 

비판과 반비판을 통해 자신의 입장을 정교하게 하는 지점은 눈여겨봐야 

Posted by 없음!
,
Global Capitalism, Its Fall and Rise in the twentieth century
Jeffry A. Frieden, Norton and Company, 2006

상당히 폴라니적인 19-20세기 자본주의 역사
Review of IPE에서는 우리 시대의 고전이라고도 한단다  


유럽 등 선진 자본주의, 아프리카 아시아 저개발국, 붕괴 이전 사회주의 국가까지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어, 동일한 국제경제 상황에서 각국의 대응양상이 잘 드러난다 
전체적으로
국제경제에서 자유주의자 vs. 보호주의자로 나뉘어 번갈아 국제경제 흐름을 다룬다 
각국의 내부 정치가 영향을 미치는 부분을 다루기 때문에, 사회-사회에 반응적 국가-국가 내 정책 갈등-국제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으로 다중적 층위에서 IPE를 다룬다는 강점

보호주의와 자유주의는 자본주의가 국가 내에서 발전하는 만큼 항상 긴장 상태에 놓여있는 듯하다 
국가의 몰락을 말하지만 저개발국에서는 여전히 국가는 중요하다는 생각


그때그때 읽고 바로 써야지 되는데 까먹은 게 많다 
여튼 포괄적이라는 측면에서 우리 시대의 고전으로 꼽히는 것인지? 아주 새로운 시각은 잘 모르겠다
Posted by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