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으로 읽는 옛집
함성호, 열림원, 2011


조선시대 쟁쟁한 유학자들이 지은 집에 드러난 그들의 철학관을 드러내는 책

이언적, 조식, 이황, 윤선도, 정약용, 김장생, 송시열, 윤증 등 고택들의 앉음새와 구조의 차이를 그들의 철학적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그 면면에 흐르는 것은 우리 건축 고유의, 자연 속에 위치함으로써 세계관을 완성시키는 것-자연을 인공적으로 만들어내는 일본과도, 자연과 대비되는 건축물을 짓는 중국 및 서양과도 다르다는 지적이다 

함성호의 가설은 우리건축사가 양식사가 아니라 정신사라는 것인데 
이 정신사 역시도 우리 성리학이 기본적으로는 주리론이기에 정치적 입장에 따라 다시 상세히 갈라진다고 이해하면 될듯하다 
-그런 면에서 노론과 소론, 남인과 서인의 각축이 치열했던 시대의 유학자들을 탐구한 것은 이 가설의 검증 작업이겠다 
 

도면이 기재되어 있지 않아
글로 된 설명으로만 고택을 상상해야 하는 점은 매우 불만
다만 시집을 낸 이답게 글은 나쁘지 않음
비록 겉핥기에 그치겠으나,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의 면모와 생각을 귀동냥 할 수 있는 것은 덤
그 집에 가고 싶은 마음도 조금은 들지만, 그때는 책을 갖고 가서 공부하는 기분이어야 할 듯
-대중서라기 보다는 지식인을 위한 책이라는 느낌

책을 읽다 보면, 
우리 것에 대해 아는 것이 너무 모자라다는 느낌을 또 한 번 받는다
Posted by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