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novation, the Missing Dimension
Richard K. Lester, Michael J. Pior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90년대 미국의 경제 발전을 혁신이 가능한 때문으로, 그 혁신은 분석적+해석적 경영 덕분이라고 진단해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수업시간에 읽을려다가 만 책, 왜 고른지 알 듯하다
새로운 디자인의 제품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전화기, 의료기기, 의류-리바이스의 경영진, 기술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파악한다
기술 발전, 경쟁 격화 등으로 대량생산이 소규모 생산으로 변화하면서 융합의 중요성이 커졌는데 어떻게 융합하고 각 부문간 혁신을 이룰 것인가는
합리성에 입각한 분석과 더불어 창조성에 입각한 해석이 중요하고
이 해석은 목적-수단을 전제한 프레임워크가 아니라 자유로운 대화 속에서 가능하다
분석 vs. 해석의 역할은 어떤 경영, 어떤 산업, 디자인 내에서도 긴장하고
이 두 가지를 동시적으로 가능케 하는 경영자의 역할이 중요해진다
시장 메커니즘, 인센티브의 도입, 탈 규제로 90년대의 혁신이 가능했다는 주장에 대해서 정반대의 정책을 도출한다
시장 메커니즘에 모든 것을 맡겨두면 해석이 가능한 대화공간은 감소할 수밖에 없다
그러하기에, 이러한 공간을 보존하기 위해서 공적 영역을 보존해야 된다는 것-대학 연구소, R&D, 규제를 논의하는 기구 등이 레스터, 피오레가 주장하는 공적 영역
-공적 연구가 혁신을 가능케 한다는 통찰은 정확하지만, 정책 부분에서는 다소 비약
-예컨대 혁신은 해석, 창조성이 가능해야 한다는 점은 정확하지만, 대규모 혁신이 공적 영역에서만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특히 위에서 예를 든 산업의 경우를 보라
합리성의 한계는 분명히 지적되어야 한다
시장만이 혁신을 담지하지는 않는다
박근혜의 창조경제는 경제 발전을 위해 혁신이 필요하다는 지점은 포착했지만, 이를 어떻게 가능케 할지에 대해서는 전무
시장 혹은 합리성의 한계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겠다
Richard K. Lester, Michael J. Pior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6
90년대 미국의 경제 발전을 혁신이 가능한 때문으로, 그 혁신은 분석적+해석적 경영 덕분이라고 진단해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수업시간에 읽을려다가 만 책, 왜 고른지 알 듯하다
새로운 디자인의 제품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전화기, 의료기기, 의류-리바이스의 경영진, 기술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파악한다
기술 발전, 경쟁 격화 등으로 대량생산이 소규모 생산으로 변화하면서 융합의 중요성이 커졌는데 어떻게 융합하고 각 부문간 혁신을 이룰 것인가는
합리성에 입각한 분석과 더불어 창조성에 입각한 해석이 중요하고
이 해석은 목적-수단을 전제한 프레임워크가 아니라 자유로운 대화 속에서 가능하다
분석 vs. 해석의 역할은 어떤 경영, 어떤 산업, 디자인 내에서도 긴장하고
이 두 가지를 동시적으로 가능케 하는 경영자의 역할이 중요해진다
시장 메커니즘, 인센티브의 도입, 탈 규제로 90년대의 혁신이 가능했다는 주장에 대해서 정반대의 정책을 도출한다
시장 메커니즘에 모든 것을 맡겨두면 해석이 가능한 대화공간은 감소할 수밖에 없다
그러하기에, 이러한 공간을 보존하기 위해서 공적 영역을 보존해야 된다는 것-대학 연구소, R&D, 규제를 논의하는 기구 등이 레스터, 피오레가 주장하는 공적 영역
-공적 연구가 혁신을 가능케 한다는 통찰은 정확하지만, 정책 부분에서는 다소 비약
-예컨대 혁신은 해석, 창조성이 가능해야 한다는 점은 정확하지만, 대규모 혁신이 공적 영역에서만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특히 위에서 예를 든 산업의 경우를 보라
합리성의 한계는 분명히 지적되어야 한다
시장만이 혁신을 담지하지는 않는다
박근혜의 창조경제는 경제 발전을 위해 혁신이 필요하다는 지점은 포착했지만, 이를 어떻게 가능케 할지에 대해서는 전무
시장 혹은 합리성의 한계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