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시즘'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15.05.03 국가와 공간
  2. 2014.11.29 이데올로기
  3. 2014.05.08 자본주의로 해석하는 IPE

국가와 공간

study/politics 2015. 5. 3. 13:32

State/Space 

A Reader

Neil Brenner, Bob Jessop, Martin Jones, and Gordon MacLeod ed., Blackwell Publishers, 2003


정치학, 사회학, 지리학 등에서 공간과 국가에 관심을 가진 이들의 글을 모은 책

A Reader라는 부제처럼 일종의 입문서 역할



Escobar의 인류학, Mann의 네오베버리안, 르페브르의 급진지리학, 풀란차스의 맑시스트 국가론에서 이론적 근거를 찾아서 

현재 진행되는 세계화가 국가를 해체, 특히 내부에서 해체시키는 측면을 다룬다 

세계화가 강제하는 공간의 분화-투자를 둘러싼 지역정부의 경쟁, 자본주의, 정체성 해체가 응축된 존재로서의 도시, margin, core의 형성과 발전 등

여러 가지 현상들을 다루지만, 현상보다는 기본적인 이론이 좀더 공고한 편이다


기본적인 시각은 국가의 파편화-세계화에 따른 위로부터, 거버넌스 등 아래로부터-에 따른 국가공간의 변화에 대한 주목이 기본

세계화라는 경제변화에 기인한 문제를 찾는 것이므로 이른바 좌파로 분류되는 학자군들의 저작이다 

일련의 학문적 논쟁을 배경으로 나온 저작들

지리학 내 사회와 공간, 세계화 논쟁, 케인지안 복지국가 위기, 새로운 로컬리즘과 지역주의 

이 모두를 관통하는 것이 <범위 scale의 정치경제>라는 문제의식 하에 <국가공간>을 정의하고, 여러 학문 분야 여러 시각에서 이를 검토하는 것


당연한 것으로 주어지는 scale의 문제를 다루므로 정치경제 쪽으로 논문을 쓰게 되면 기본적인 기반일 될듯

보관하고 생각해 볼 지점이 분명히 있다

Posted by 없음!
,

이데올로기

study/politics 2014. 11. 29. 18:02
Ideology and UtopiaKarl Manheim, 1936,
지식사회학, 송호근, 1992


기말리포트 작성에 적용해 볼까 고민하다가 실패한 글들
전간기 복잡하던 시절을 배경으로 나온 게 지식사회학이라고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가 만하임의 대표적인 글이라고 하는데 맑스의 허위의식으로서 이데올로기 개념을 받아들이되, 계급에 얽매이지 않고 특정 위치에서 개인의 생각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아주 단순하게 파악하자면, 지식는 사회의 산물이다
-원래는 인식론, 존재론 측면에서 매우 복잡한 내용

그러나 송호근이 지적한 부분인 듯하지만,  
노동자계급의 사상은 이데올로기가 아니라고 중심성을 견지하려는 과정에서 모순이 생긴다고 
즉, 모든 지식이 사회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이데올로기라면 노동자계급의 지식이나 맑시즘 자체도 또다른 이데올로기로 다른 지식보다 우위에 올 수 없다


기본적인 접근방식은 매우 흥미로움
근데 이러한 접근을 경험적 연구에 어떻게 적용할지는 어려운 문제일듯

 
Posted by 없음!
,
The Global Political Economy
Gill and Law,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8


꽤나 오래 전에 나온 맑시즘 전통에서의 국제정치경제 교과서
누군가가 추천해 준 책
제목에 THE가 들어가는 게 의미가 있을 수도


지은이 중 한 명인 Gill은 Cox와 더불어 그람시안 학파로 분류되기도 하고, Cox와 분리되는 좀 더 맑시즘 전통에 충실한 암스테르담 학파(? 정확치 않음?)로 분류되기도 한단다 
여튼 
현실주의적 시각과 대조를 이루는 맑시즘적 시각에서 국제관계론을 정리한 책
특히 현실주의, 자유주의 등 (구성주의는 등장하기 전) 주류 국제관계론에 대한 비판-몰역사적 측면과 구조의 상대적 무시 등-과 의미 등을 각 시각별로 정리한 부분은 매우 쓸모 있으면서도 명쾌 

교과서인 만큼 본격적으로 자기 논지를 펼치지는 않지만, 
(지구적) 자본가 혹은 자본의 움직임을 염두에 둘 것을 전반적으로 강조
-예컨대 원조가 어떻게 공여국의 자본과 결합되나 등


Cox의 Social force와 연관해서 교과서를 다시 볼 필요
그람시안적 맑시즘과 폴라니의 분석을 국제관계에 적용할 때 어떻게 다른가? 혹은 그 연장인가?
-그람시의 idea, hegemony가 Cox에 와서는 축소되는 경향은 분명히 있음 
Cox와 Gill의 차이는? 
정도를 분명히 해야 될 필요 
Posted by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