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베버리안'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5.05.03 국가와 공간
  2. 2014.07.18 권력의 사회적 기반

국가와 공간

study/politics 2015. 5. 3. 13:32

State/Space 

A Reader

Neil Brenner, Bob Jessop, Martin Jones, and Gordon MacLeod ed., Blackwell Publishers, 2003


정치학, 사회학, 지리학 등에서 공간과 국가에 관심을 가진 이들의 글을 모은 책

A Reader라는 부제처럼 일종의 입문서 역할



Escobar의 인류학, Mann의 네오베버리안, 르페브르의 급진지리학, 풀란차스의 맑시스트 국가론에서 이론적 근거를 찾아서 

현재 진행되는 세계화가 국가를 해체, 특히 내부에서 해체시키는 측면을 다룬다 

세계화가 강제하는 공간의 분화-투자를 둘러싼 지역정부의 경쟁, 자본주의, 정체성 해체가 응축된 존재로서의 도시, margin, core의 형성과 발전 등

여러 가지 현상들을 다루지만, 현상보다는 기본적인 이론이 좀더 공고한 편이다


기본적인 시각은 국가의 파편화-세계화에 따른 위로부터, 거버넌스 등 아래로부터-에 따른 국가공간의 변화에 대한 주목이 기본

세계화라는 경제변화에 기인한 문제를 찾는 것이므로 이른바 좌파로 분류되는 학자군들의 저작이다 

일련의 학문적 논쟁을 배경으로 나온 저작들

지리학 내 사회와 공간, 세계화 논쟁, 케인지안 복지국가 위기, 새로운 로컬리즘과 지역주의 

이 모두를 관통하는 것이 <범위 scale의 정치경제>라는 문제의식 하에 <국가공간>을 정의하고, 여러 학문 분야 여러 시각에서 이를 검토하는 것


당연한 것으로 주어지는 scale의 문제를 다루므로 정치경제 쪽으로 논문을 쓰게 되면 기본적인 기반일 될듯

보관하고 생각해 볼 지점이 분명히 있다

Posted by 없음!
,
The Social Sources of Power
Mann, Cambridge University Press
Volume 1, A History of Power from Beginning to AD 1760, 1986
Volume 2, The Rise of Classes and Nation States 1760-1914, 1993
Volume 3, Global Empire and Revolution 1890-1945, 2012
Volume 4, Globalizations 1945-, 2013


수업시간에 언급된 책
만은 반성적 이론으로 언급된 네오베버리안, 세계체제, 비판이론 중 네오베버리안에 속한다 
Marxified Weberian


권력이라는 한 가지 주제를 갖고 20년 가까이 책을 써 오고 완성한 건데 엄청난 대작
긴 호흡과 문제의식이 돋보인다
단일한 권력 개념이 아닌 경제권력, 정치권력, 군사권력, 이념권력 네 가지로 구분하며, 각자 상호연관되어 영향을 미친다는 IMEP 모델을 중심으로 서양 근대사-중간중간 중국 사회주의, 일본 제국주의가 포함되나-를 훑는다 

만이 강조하는 자신의 기여는 군사적 측면에 대한 주목-스카치폴, 틸리와의 연장선
예컨대 사민주의, 복지국가의 등장은 군사충돌에 따른 계급 유화 혹은 타협과 별개로 생각할 수 없다 
여전히 국가의 중요성을 말하기에-세계화에 대한 반항 혹은 타협의 근거

복지국가의 공과, 사회주의의 공과-발전, 사회적 시민권은 이루었으나 정치적, 경제적 시민권은 배제-를 객관적으로 설명한다는 생각
초월적 이념-어떤 경우의 민족주의, 사회주의, 근본주의-의 위험성 경고가 돋보인다



워낙 방대한 책이라 정리하기가 쉽지는 않지만 
현실에 적용되는 것은 민족국가, 시장/자본주의 정도의 기원과 발전을 다룬다는 점에서 꼼꼼이 읽어볼 필요
다른 이론을 정리하고 비판하는 내용이 여러 측면에서 풍부해 준거로 삼으면 나쁘지 않을듯
-국가론, 혁명이론, 세계화와 초국성-dual
-민족주의, 제국주의

이론의 간결성과 예측 가능성은 부족하다
그렇지만 현실을 설명하는 데는 이쪽이 더 적합하다고 생각-특히 국가의 역할 측면에서
네오베버리안이 국가와 물리력-군사력이 중심이라면 비판이론은 사회세력이, 세계체제론은 자본주의가 중심이라는 생각
-이 부분에 대해서는 좀더 정리가 필요하다 
-특히 국가의 성격 부분에서 
Posted by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