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ocial Sources of Power
Mann, Cambridge University Press
Volume 1, A History of Power from Beginning to AD 1760, 1986
Volume 2, The Rise of Classes and Nation States 1760-1914, 1993
Volume 3, Global Empire and Revolution 1890-1945, 2012
Volume 4, Globalizations 1945-, 2013


수업시간에 언급된 책
만은 반성적 이론으로 언급된 네오베버리안, 세계체제, 비판이론 중 네오베버리안에 속한다 
Marxified Weberian


권력이라는 한 가지 주제를 갖고 20년 가까이 책을 써 오고 완성한 건데 엄청난 대작
긴 호흡과 문제의식이 돋보인다
단일한 권력 개념이 아닌 경제권력, 정치권력, 군사권력, 이념권력 네 가지로 구분하며, 각자 상호연관되어 영향을 미친다는 IMEP 모델을 중심으로 서양 근대사-중간중간 중국 사회주의, 일본 제국주의가 포함되나-를 훑는다 

만이 강조하는 자신의 기여는 군사적 측면에 대한 주목-스카치폴, 틸리와의 연장선
예컨대 사민주의, 복지국가의 등장은 군사충돌에 따른 계급 유화 혹은 타협과 별개로 생각할 수 없다 
여전히 국가의 중요성을 말하기에-세계화에 대한 반항 혹은 타협의 근거

복지국가의 공과, 사회주의의 공과-발전, 사회적 시민권은 이루었으나 정치적, 경제적 시민권은 배제-를 객관적으로 설명한다는 생각
초월적 이념-어떤 경우의 민족주의, 사회주의, 근본주의-의 위험성 경고가 돋보인다



워낙 방대한 책이라 정리하기가 쉽지는 않지만 
현실에 적용되는 것은 민족국가, 시장/자본주의 정도의 기원과 발전을 다룬다는 점에서 꼼꼼이 읽어볼 필요
다른 이론을 정리하고 비판하는 내용이 여러 측면에서 풍부해 준거로 삼으면 나쁘지 않을듯
-국가론, 혁명이론, 세계화와 초국성-dual
-민족주의, 제국주의

이론의 간결성과 예측 가능성은 부족하다
그렇지만 현실을 설명하는 데는 이쪽이 더 적합하다고 생각-특히 국가의 역할 측면에서
네오베버리안이 국가와 물리력-군사력이 중심이라면 비판이론은 사회세력이, 세계체제론은 자본주의가 중심이라는 생각
-이 부분에 대해서는 좀더 정리가 필요하다 
-특히 국가의 성격 부분에서 
Posted by 없음!
,